현 정부에서 국민의 안전한 먹거리를 위해 친환경농산물 생산을 장려하고 있는데, 농업용수 수질기준인 COD 8ppm을 초과하면 친환경농산물로 인증을 받지 못하게 된다.
인천 강화군의 경우 농지의 10%정도가 친환경농업을 하고 있으나, 대형 저수지 13곳 중 10곳이 친환경수질기준을 초과해서 친환경 농업이 어려운 상황이다.

국감질의중인 안상수의원[사진제공=안상수의원사무실]
이에 안의원은 “농업용수 수질은 우수농산물과 친환경농산물 생산에 필수 요건이나, 저수지 수질개선을 위한 지구당 평균사업비가 40억원 정도인데 연간 10억원 미만의 예산이 지원되다 보니 4~5년 걸려 사업장기화와 저수지의 수질악화가 지속될 수밖에 없다” 며 한국농어촌공사 사장에게 “전국이 청정농업지역이 될 수 있도록 농어촌공사가 수질 개선을 위해 앞장 서 달라”고 요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