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9/17/20150917155750631175.jpg)
한국로봇융합연구원은 17일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중회의실에서 중국 과학원 선양자동화연구소와 수중로봇 기술교류 워크숍을 개최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로봇융합연구원]
아주경제 최주호 기자= 한국로봇융합연구원은 17일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중회의실에서 중국 과학원 선양자동화연구소와 수중로봇 기술교류 워크숍을 통해 한·중 간 첨단수중로봇 국제공동연구에 대한 논의의 시간을 가졌다고 밝혔다.
한국로봇융합연구원은 지난해부터 해양수산부의 ‘수중건설로봇사업단’(총 사업비 813억원) 핵심과제인 ‘ROV 기반 수중 중작업용 로봇 기술 개발’ 과제를 수행 중인데, 올해 3차년도부터 ‘해저 케이블 매설작업 실시간 3차원 구현 기술 개발’에 대해서 선양자동화연구소가 연구기관으로 참여하게 된다.
이번 워크숍을 통해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수중로봇연구센터 이계홍 책임연구원은 선양자동화연구소의 수중로봇연구실 주임인 리숴(李碩) 박사 등 3명과 함께 향후 공동연구 추진방법 및 전략에 대한 협의와 함께 양국 간의 수중로봇 기술현황을 파악하고 향후 수중로봇에 대한 국제공동 연구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선양자동화연구소는 중국 과학원 산하의 자동화 및 로봇에 관한 연구기관으로, 1958년 11월에 당시 중국 중공업단지 중심지인 선양에 건립돼 현재 1000여명의 우수인력을 보유하고 있다.
연구소는 항공, 우주, 생산자동화 및 수중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로봇분야의 연구를 선도하고 있는 중국 최대 국가로봇연구소다.
특히 수중로봇의 경우 일찍 1980년대부터 6000m급 자율무인잠수정 개발을 비롯해 다양한 무인잠수정 및 글라이더 개발경험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7000m급 자오룽하오(較龍號) 유인잠수정 기술 개발, 이에 부착할 7000m급 유압매니퓰레이터 기술개발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어 내년에 유인잠수정에 탑재해 심해탐사에 투입될 예정이다.
박철휴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원장은 “최근 포항 영일만에 ‘수중건설로봇 복합실증센터’가 착공되는 등 수중건설로봇 연구를 위한 인프라가 구축되는 것과 함께 관련 로봇기술에 대한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국제 공동연구가 활발히 추진될 필요가 있다”며 “이번 기회로 중국뿐만 아니라 미국, 일본, 유럽 등 로봇 선진국의 우수한 연구기관들과의 기술교류에 힘써 연구원을 글로벌 상용화로봇 전문연구기관으로 성장시키겠다”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