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는 “과학기술이 어렵거나 전문적인 영역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국민이 직접 느끼고, 경험하고, 필요로 하는 연구가 다양해지고 있다”며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기 위해 ‘국민생활연구군’(가칭)을 도입한다”고 21일 밝혔다.
국민생활연구군에 속한 각각의 연구개발사업은 기존의 ‘기초·원천연구’와는 다른 방식으로 연구개발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의 과학기술은 국가 경제발전과 같은 거시적인 목표에 주로 이바지해왔다. 국민생활연구는 비교적 단기간 성과 창출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기획부터 새로운 연구개발 방법이 필요하다.
국민생활연구군은 기획에서 평가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 국민의 참여 비중을 높였다. 연구개발 기획 단계에서는 과학기술에 관한 전문 지식이 없어도 누구나 연구개발 과제를 제안할 수 있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기술개발 수요도 파악할 수 있다. 이렇게 제안된 과제 가운데 전문가나 일반 국민이 가장 필요로 하는 과제를 미래부에서 선정한다.
미래부 관계자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기존의 시민연구사업 등을 국민생활연구군에 우선 포함하고 향후 신규 사업을 발굴해 시범적으로 운영해나갈 것”이라며 “국민생활연구군을 통해 ‘국민이 만들어가는 과학기술’, ‘과학기술로 행복한 삶’을 실현해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