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금감원이 피싱사기 예방을 위해 ‘그놈목소리’ 공개 이후 대출사기 기법이 ARS를 이용한 수법으로 진화하고 있다.
또 금융회사 인터넷 홈페이지를 사칭한 피싱사이트를 개설해 잔고증명 및 전산조작비용 등을 명목으로 금전을 편취하는 사건도 발생했다.
대출알선 문자를 보낸 후 금융거래실적이 필요하다며 체크카드와 통장사본 등 개인정보를 수집해 피해자 명의로 대출을 받기도 한다.
이에 금감원은 대출실행과 관련 금전 요구 시 대출사기를 의심해야한다고 강조했다. 또 대출을 미끼로 신분증과 통장사본 등을 요구하면 거절해야 한다.
보안카드 번호 및 문자메시지 인증번호 등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알려주면 안되고 대출 관련 사항 확인 시 금융회사에 직접 알아봐야 한다.
대출 및 택배사기에 속아 금전을 송금한 경우, 신속하게 경찰청(112) 또는 금감원(1332) 및 해당 금융회사 콜센터로 신고해야 한다.
스마트폰에 설치된 악성코드로 인해 소액결제 피해를 당한 경우 경찰에서 피해사실 입증서류를 받아 통신사에 제출해 피해구제 신청을 하면 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