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조현미 기자 = 결핵은 가족 간 감염 가능성이 큰데도 환자 발생 이후 감염 검사를 받는 가족 접촉자는 절반도 되지 않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가천의대 소아청소년과 조혜경 교수팀은 2011∼2012년 길병원에서 결핵균 감염에 의한 질환으로 치료받은 환자 253명과 가족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3일 밝혔다.
연구팀은 253명의 환자가 결핵 진단을 받은 날로부터 1년이 지난 시점에 전화 설문을 하고 각각의 의무기록을 조사했다.
조사 결과 환자 중 결핵 감염원을 모르는 경우가 92.8%(235명)에 달했다. 감염원을 아는 환자 중 가족 내 감염원을 지목한 환자는 75%(18명 중 12명)였다. 가족 외의 감염원을 아는 경우는 25%(18명 중 6명)로 감염 장소로는 학교, 군대, 교회 등이 꼽혔다.
동거 중인 가족 구성원의 결핵 감염 검사 여부를 보면 검사를 받지 않은 경우가 50%(126명)에 달했다. 반면 모든 구성원이 검사를 받은 경우는 44%(111명)에 그쳤다.
또 아직 결핵이 발병하지 않았지만 치료를 받아야 하는 잠복결핵감염도 13가족에서 15명(2.7%)이 나왔다.
가족 구성원이 검사를 받지 않은 이유로는 '증상이 없어서', '전염성이 없다고 들어서', '검사해야 하는지 몰라서' 등의 응답이 대부분이었다.
이번 조사 결과를 담은 논문은 대한소아감염학회에서 학술지 최근호에 실렸다.
결핵은 인류 역사상 가장 많은 사망자를 낸 감염 질환이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전 세계 인구의 약 33%가 결핵보균자다. 우리나라도 국민의 30% 이상이 결핵보균자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결핵은 공기 중으로 전파되기 때문에 예방이 쉽지 않다. 따라서 전염성 결핵 환자를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를 받게 해 전파기간을 단축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생후 1개월 이내에는 결핵예방접종(BCG)을 받아야 한다.
조혜경 교수는 "결핵 접촉자의 결핵 감염 상태를 검사하는 것은 2차 감염 환자를 조기에 발견하려는 목적도 있지만 감염원을 찾아낸다는 의미도 있는 만큼 접촉자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