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책연구기관인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24일 대외경제장관회의에 제출한 '중국 경제 동향 및 대응방안' 보고서에서 "예상보다 중국 경기둔화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면서 이같이 예상했다.
보고서는 "중국의 경기가 둔화되면 한국은 중장기적으로 대중 수출여건 악화가 우려된다"며 대응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그간 중국의 성장 동력이었던 설비 투자가 과잉 상태에 도달하면서 비효율성이 커지고 부실채권 비율이 상승했을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연평균 10% 이상 상승하던 부동산 경기가 2013년 이후 조정을 겪는 등 위험 요인도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중국의 성장률이 올해 7% 이하로 내려갈 가능성이 있고 2020년까지는 6%대, 2030년까지는 5%대로 점차 하락할 것"이라면서 "중국 실물경제의 성장 둔화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어 양적 충격에 대비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보고서는 중국의 수출 감소에 따라 한국의 중국에 대한 수출 여건이 악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한편, 서부 대개발에 따른 수요 창출 및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른 신시장 개발 같은 기회 요인도 공존한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한국은 연평균 35% 성장 중인 중국의 소비재시장을 공력하고, 중국 정부가 강조하는 녹색성장과 관련한 신산업을 개발해야 한다고 보고서는 제언했다.
중국이 추진하는 '일대일로(一帶一路: 육상·해상 실크로드)' 전략에 따라 인프라 시장 기회가 열릴 것으로 관측되는 만큼 중국 기업과의 전략적 제휴를 통한 진출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방안도 제시됐다.
보고서는 최근 중국 주식시장이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는 데 대해서는 "한국 주가 변동은 중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어 동조효과는 제한적"이라고 평가했다.
또 "위안화가 평가절하가 국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부정적 효과가 상쇄돼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