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주진 기자 = 미국 뉴욕을 방문 중인 박근혜 대통령이 26일(현지시간) 새마을운동의 글로벌 버전인 '신(新) 농촌개발 패러다임'을 유엔 정상외교 무대를 통해 제시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유엔 개발정상회의 부대행사격으로 우리 정부와 유엔개발계획(UNDP),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공동으로 개최한 새마을운동 고위급 특별행사에 참석했다.
박정희 전 대통령 시절 우리나라 농촌 발전에 크게 기여했던 새마을 운동이 동남아시아와 아프리카 일부 국가에서 농촌개발 모델로 각광을 받은데 이어 이제 글로벌 농촌개발 프로그램으로 뻗어나가는 도약의 계기를 마련한 셈이다.
행사에는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과 앙헬 구리아 OECD 사무총장, 헬렌 클라크 UNDP 총재 등 국제기구 수장을 비롯해 새마을운동을 도입했거나 새마을사업 지원을 요청해온 나라 가운데 라오스, 르완다, 페루, 베트남 등 4개국 정상이 참석했다.
청와대는 "이번 특별행사는 새마을 운동을 국제사회의 '신농촌개발 패러다임'으로 발전시키고, 인류 공동의 개발자산으로 전환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박 대통령은 이날 유엔개발정상회의의 핵심 테마인 '2030 지속가능개발 목표'(SDGs) 이행을 위한 실천방안의 하나로 새마을 운동의 국제사회 기여방안을 제시했다.
박 대통령은 새마을운동 고위급 특별행사에 앞서 유엔개발정상회의 기조연설에서 "한국의 새마을운동을 '신농촌개발 패러다임'으로 발전시켜 개도국의 농촌개발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며 "우리의 새마을운동 경험과 노하우가 적절하게 공유될 수 있도록 UNDP 및 OECD와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청와대에 따르면 정부는 우선 OECD와 공동연구를 통해 새마을운동 성공요인을 중심으로 개도국의 농촌개발 사례를 분석한 뒤 오는 12월 '21세기 신농촌개발 패러다임'을 발간할 계획이다.
신농촌개발 패러다임은 △경제 △거버넌스와 제도 △빈곤 및 불평등, 복지 △환경 등 4가지 주제로 구성된다.
경제분야에선 개별국가의 자원 및 경제·사회·제도적 특성을 고려해 농촌개발을 추진하고, 서비스·관광·정보통신기술 산업을 포괄한다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또한, 현장·지역·중앙정부간 조율, 민관·지역사회·시민단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참여를 보장하고, 취약계층의 기초 수요를 충족시키는 조치와 지속가능한 환경의 역할을 고려한다는 내용도 패러다임에 포함된다.
아울러 우리나라는 UNDP와 협력사업을 통해 '포괄적이고 지속가능한 지역공동체 새마을 운동 모델'(ISNC. Saemaul Initiative towards Inclusive and Sustainalbe New Communities)도 개발할 예정이다.
이 모델은 근면, 자조, 협동이라는 새마을운동 기본원칙에 UNDP 개발전략인 포괄성과 지속가능성을 접목한 것으로, 대상국가로는 라오스, 미얀마, 베트남, 우간다, 르완다, 볼리비아 등 6개 나라가 선정됐다.
우리나라와 UNDP는 2016∼2017년 새마을운동 모델을 개도국에 적용한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 새마을운동 확산센터 설립 등을 통해 새마을운동의 국제화 및 논의 활성화를 이뤄내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특히 새마을운동 모델은 △여성지원단체 및 학교 등 지역사회 기반 조직 활용 △지방정부 및 정책개발을 위한 국가역량 강화 △정부부처, 연구기관, 새마을운동 확산센터간 파트너십 구축 등을 통해 작동하게 된다는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청와대에 따르면 한국국제협력단은 이미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베트남, 네팔, 르완다, 우간다 등 7개 나라 420개 마을의 62만명 주민을 대상으로 '스마트 새마을개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정부는 앞으로 △아프리카, 중남미, 독립국가연합(CIS) 지역으로 새마을운동 확산 △새마을사업 평가결과의 국제저널 게재 및 세미나 개최 △캄보디아 새마을농촌개발 전문대학 설립 등 개도국 새마을교육체계 구축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