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에 자신의 "정치생명을 걸겠다"고 공언한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로서는 현실적 한계를 감안해 '절충점 모색'에 나선 것으로 해석될 수 있어 이번 회동이 향후 정치적 입지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김 대표 측에서는 이날 회동에 대해 최근 새정치민주연합의 공천혁신안으로 인해 오픈프라이머리의 여야 동시 도입이 물건너 간 듯 보였던 상황에서 야당을 일정부분 설득했다는 성과를 거뒀다고 자평했다.
여론조사 경선이 발달한 우리나라 선거의 특수성을 감안한 이른바 '전화 오픈프라이머리'라는 새로운 방식을 김 대표가 구상해오다 양당 대표 회동에서 제시함으로써 막혔던 논의의 물꼬를 텄다는 것이다.
특히 김 대표는 "국민에게 공천권을 돌려주겠다"는 기본 원칙을 지켜내면서 상향식 공천에 대한 의지를 거듭 표명했다는 평가도 가능하다.
아울러 야당과 동시 실시하는 '제3의 방식'을 찾아냄에 따라 "여당 단독의 오픈프라이머리는 절대 안 된다"고 주장하는 친박(친박근혜)계의 반발에 맞설 수 있는 논리적인 타당성도 마련했다는 게 김 대표측의 주장이다.
실제로 한 측근은 이날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언뜻 보면 안심번호 등의 용어 때문에 새정치연합의 주장을 따라간 듯 보일 수 있지만, 내용을 보면 새정치연합이 그동안 미온적이던 국민공천제의 기조에 동의하게 설득해낸 것"이라며 "커다란 성과를 거둔 협상"이라고 말했다.
당 관계자는 "미국식 오픈프라이머리를 도입할 경우 낮은 투표율, 동원 선거, 고비용 등의 적지 않은 부작용이 불가피하다"면서 "전화 오픈프라이머리는 역선택을 막고 개인정보 유출의 우려도 없앨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날 회동 결과를 뒤집어보면 김 대표가 그동안 주장해오던 미국식 '동원 오픈프라이머리'는 사실상 포기한 것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그동안 구체적인 방식은 거론된 적이 없었지만 '김무성식 오픈프라이머리'는 모든 유권자가 정해진 선거일에 오프라인상의 현장에서 투표에 참여해 후보를 선출하자는 방식으로 받아들여졌기 때문이다.
특히 여야 협의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친박계를 중심으로는 김 대표가 무리하게 오픈프라이머리를 밀어붙이다가 '자가당착'에 빠졌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정치생명까지 걸겠다고 약속했지만 결국 변형된 방식에 합의한 것은 야당의 논리에 밀린 것이나 마찬가지라는 지적도 벌써부터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친박계 의원들을 중심으로 국회의원 선거구획정 문제 등을 논의하기 위해 소집된 오는 30일 의원총회에서 이날 여야 대표 회동 결과를 문제삼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한 친박계 의원은 "이 정도로는 오픈프라이머리의 대안을 내놓으라고 했던 당내 의원들의 요구를 수습하고 넘어갈 수 없을 것"이라며 "김 대표가 문 대표의 페이스에 말린 것 같다"고 비판했다.
그러나 한 비박(비박근혜)계 의원은 "친박계 의원들은 공천 지분을 확보하는 게 목적으로, 여야가 오픈프라이머리를 동시에 실시한다고 법에 명문화하지 않는 이상 약속을 못 지켰다면서 김 대표를 계속 흔들 것"이라며 "국민 여론은 공천권을 내려놓겠다는 김 대표를 지지할 것이라는 자신이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