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폭스바겐코리아]
아주경제 윤정훈 기자 = 폭스바겐의 배출가스 조작 사태의 파장이 계열사로 번지고 있다. 독일 검찰은 마르틴 빈터코른 폭스바겐 전 CEO에 대해 조사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28일(현지시간) 폭스바겐 그룹 계열의 아우디 대변인은 ‘유로 5’ 레벨 엔진의 아우디 디젤차 210만대에도 문제의 배출가스 저감 눈속임 소프트웨어가 장착된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서유럽에서 팔린 것이 142만대, 독일 57만7000대, 미국 1만3000대로 A1·A3· A4·A5·TT·Q3·Q5 등 총 7개 모델에서 조작이 확인됐다.
또 다른 폭스바겐 계열사인 체코의 스코다도 이날 자사에서 생산된 차 120만 대가 문제의 저감 소프트웨어와 관련이 있다고 발표했다.
앞서 폭스바겐 그룹은 전 세계적으로 모두 1100만 대의 디젤차가 불법 소프트웨어로 배출가스 검사를 통과한 것으로 추정한다고 밝혔다.
이 중 폭스바겐 브랜드 500만 대와 이번에 확인된 아우디, 스코다 총 330만 대를 제외하면 300만 대 가량의 다른 브랜드 차가 더 있을 가능성이 크다.
폭스바겐은 스페인 업체 세아트, 포르쉐, 람보르기니, 벤틀리, 부가티를 포함해 모두 12개 브랜드를 보유 중이다.

이번 조작에 폭스바겐 임직원이 어느 정도까지 연루돼 있는지에 대한 수사도 시작됐다. 폭스바겐 본사가 있는 독일 볼프스부르크를 관할하는 브라운슈바이크 지방 검사는 지난 23일 사퇴한 빈터코른 전 CEO를 상대로 수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검찰은 배출가스 눈속임 소프트웨어의 장착 사실을 사전에 파악했는지, 그에게 사기 혐의를 적용할 수 있는지 등에 중점을 두고 수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독일 법률에서는 법인이 아닌 개인에 대해서만 기소 가능하며, 사기죄로 기소되면 최고 10년의 징역형에 처해질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