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는 5일 오후 3시 시청 의사당 3층 대회의실에서 주민 등 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5년 목표 울산시 도시재생전략계획 수립(안) 주민공청회'를 개최했다.
이번 계획안은 도시 쇠퇴 진단 지역에 대해 무분별한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지정을 지양하고, 도시특성을 반영하면서 산업·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곳과 구·군의 도시 재생 의지가 높은 곳을 도시재생 활성화지역으로 우선 반영함으로써 향후 10년간 도시 재생의 실행력을 높이려 하는 데 그 특징이 있다.
울산시는 이번 도시재생전략계획 수립을 위해 지난해 12월 용역을 발주하고 쇠퇴 및 잠재력 진단, 재생전략 수립,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선정 등을 수행했다.
총 56개동 중 54%에 해당하는 30개동이 인구 감소, 사업체 수의 감소, 건축물의 노후 중 2가지 이상의 쇠퇴현상을 겪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울산시는 도시를 크게 3개 권역(중부재생권역, 동북부재생권역, 서남부재생권역)으로 구분해 광범위한 쇠퇴지역에 대한 전략구상을 마련했다.
전략구역 구상에는 국내 최고의 산업도시이지만 원도심과 주거지가 쇠퇴해 온 울산의 특성을 반영했다.
태화강을 사이에 두고 있는 중부재생권역에는 원도심으로서의 상징성을 높일 수 있도록 방향을 설정했다. 동북부재생권역은 산업자원과의 연계를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서남부재생권역은 지역자원을 활용한 체험형 재생시스템을 구축토록 구상했다.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은 그 목적에 따라 항만·철도·산업단지 등 광역적 핵심기능 재생을 위해 시의 주도로 추진되는 '도시경제기반형'과 근린생활권의 생활환경 개선을 위해 구·군 주도로 추진되는 '근린재생형'으로 구분했다.
'근린재생형'은 다시 중심시가지의 상업·업무, 역사·문화·관광을 통해 재활성화하기 위한 '중심시가지 근린재생형'과 낙후된 주민생활환경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일반 근린재생형'으로 구분된다.
야음장생포동은 혁신산단 지정(산업자원부)과 함께 산업환경개선을 체계적으로 추진해 새로운 산업구심점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도시경제기반형'으로 지정할 예정이다.
또 쇠퇴한 원도심지역의 상업지역과 주거지의 활성화를 위해 중앙동·신정동에 중심시가지 근린재생형 2개소, 주거생활환경 개선을 위해 학성동·삼호동·염포동·양정동 등에 일반 근린재생형 10개소를 도시재생활성화지역으로 지정해 지역의 활력증진 및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기틀을 마련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