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트라는 최근 TPP 최대 시장인 미국에 진출한 우리 기업들과 긴급 인터뷰를 하고, 업종별 영향과 대응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5일 밝혔다.
가장 우려되는 자동차부품의 경우, TPP 발효로 관세철폐로 인한 일본 제품의 가격경쟁력 개선으로 우리의 주력 수출시장인 미국에서의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다만, TPP 역내 국가인 미국이나 멕시코 등에 공장을 둔 기업은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보이며, 앞으로 우리 기업의 현지화 전략도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디트로이트에 진출한 자동차 부품 회사인 A사의 경우 현지 생산 비중이 높아 심각한 영향이 없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자동차의 경우도 닛산, 마즈다 등 일본 등에서 직수입하는 메이커들의 경쟁력이 높아져 우리 자동차의 수출에 다소간의 영향을 줄 것으로 업계 관계자는 전망했다.
직접적인 영향이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석유·화학 업종에서도 현지화 확대 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전자 업종의 영향은 크지 않을 전망이다. 일본산 TV, 냉장고 등에 약간의 가격효과가 예상되지만 휴대폰 등 IT 주력 품목의 경우는 정보기술협정(ITA)에 따라 현재도 관세가 없기 때문에 TPP의 영향이 없다는 것이다. 전자 분야 우리 기업들은 TPP 협상 타결이 전자 업종에 미칠 영향이 미미한 관계로 회사 차원의 대비책도 거의 없다고 밝히며, TPP보다도 엔화 및 위안화 대비 원화 강세에 대응하기 위해 브랜드 인지도 제고와 고기능 제품 마케팅 강화에 주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철강 업종도 미국 시장에서 일본제품과 직접적인 경쟁관계에 있지 않은데다가 일본제품의 가격대가 높아 관세인하에 따른 영향이 크지 않을 전망이다. 현지 진출 C사는 스틸제품을 주로 취급하는 중국과 대만 업체들이 타격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밖에 건설 기자재 등 주로 중국 기업들과 경쟁하고 있는 업종들은 중국이 TPP에 참여하지 않고 있어 영향이 거의 없을 것으로 조사됐다.
김재홍 코트라 사장은 “TPP로 인해 일부 업종의 피해가 불가피하겠지만, 이미 우리 기업들이 현지화, 제품차별화로 대응하고 있다”며, “향후 TPP 타결에 따른 우리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해외 진출기업들의 TPP 활용 방안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