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소득양극화를 최소화하는데 골몰하지만 뾰족한 수를 내지 못하고 있다. 정책적 부재가 커지는 사이 월평균 소득격차는 좁힐 수 없는 수준에 이르렀다.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국 2인 이상 가구 월평균 소득은 지난해 430만2352원으로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그러나 소득 상위 10%와 하위 10% 간 월평균 소득격차는 지난해 기준으로 863만9589원에 이르고 있다. 소득양극화가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대다수와 비교해서 자신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심리상태인 상대적빈곤율 역시 17.9%로 높아졌다.
김민창 국회입법조사처 경제산업조사실 입법조사관은 “저소득층 소득증가와 소득분배구조 개선 등 소득양극화를 완화하기 위한 정부의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며 “지난 10년간 추이를 볼 때 우리나라 소득양극화 심화 현상을 부인할 수 없다”고 진단했다.
김 조사관은 이어 “정부에서도 저소득층에 대한 복지 확대와 일자리 창출 등 정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소득양극화 문제가 크게 개선되지는 않고 있다”며 “교육·조세·재정 등 분야에서 보다 종합적이고 적극적인 정책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김낙년 동국대학교 교수는 지난해 소득세에 대한 논문을 통해 소득 양극화의 심각성을 지적한 바 있다. 그는 논문에서 상위 10% 소득이 우리나라 전체 소득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는 자료를 제시했다.
하위 40% 소득은 전체의 2%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논문에 따르면 2010년 기준으로 20세 이상 성인인구 3797만명 중 상위 10%(10분위)는 전체 소득 48.05%를 벌어들이고 있다. 범위를 9∼10분위로 넓힌 상위 20% 소득 점유율은 68.29%에 이른다.
최상위계층 쏠림 현상도 나타난다. 상위 1% 소득 점유율은 12.97%, 상위 0.1% 점유율은 4.46%, 상위 0.01% 점유율은 1.74%다.
반면 1∼4분위에 해당하는 소득 하위 40%의 소득 점유율은 2.05%에 불과하다. 하위 70%(1∼7분위)의 소득으로 잡아도 전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8.87% 수준이다. 이들이 버는 돈을 다 합쳐도 상위 10% 소득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는 의미다.
한편 올해 초 서울연구원 서울경제분석센터가 조사한 설문자료에서는 서울시민 10명 중 8명이 올해도 소득양극화 현상이 개선되지 않을 것이라고 응답했다.
응답자의 91.4%는 올해도 소득양극화 현상이 개선되지 않을 것이라고 답해 경제 이슈 중 가장 비관적인 태도를 보였다. 소득 양극화 현상이 조금이나마 개선될 것이라고 답한 사람은 7.2%에 불과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