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노경조 기자 = 해외건설산업을 단순도급 공사가 아닌 투자개발형 사업으로 전환하고자 정부가 20억 달러(2조3000억원) 규모의 편드 운용에 나선다.
국토교통부는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대외경제장관회의에서 해외건설산업의 질적 성장을 목표로 하는 '제3차 해외건설 진흥기본계획'을 내놓았다.
해외건설산업은 1965년 국내 건설사들이 해외시장에 첫 진출한 지 반세기만인 올해 6월 누적 수주액 7000억 달러를 돌파했다. 하지만 해외건설 수주가 중동지역 플랜트 도급공사에 편중돼 유가 변동 등 대외환경 변화에 취약하고, 투자개발형사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최근 5년간 2.6%에 그치는 등 고부가가치 분야 진출이 미흡하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이에 국토부는 3차 진흥계획을 통해 공항·항만·발전소 등 인프라 사업으로 해외건설 수주가 다변화되고 지역도 남미·아프리카 등으로 분산시키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중동지역 역시 저유가 상태가 굳어지면서 발주형이 아닌 투자개발형 사업을 원하는 분위기다.
국토부 관계자는 "해외건설 시공은 레드오션 시장으로 공기지연·설계변경 등에서 손실 위험이 크다"며 "기획 및 타당성 검토·프로젝트관리·설계 등이 블루오션이기에 투자개발형 사업을 통해 기술력을 배양하고, 전문인력을 양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국토부는 한국투자공사(KIC)와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해외건설 투자개발형 사업을 위한 '코리아해외인프라펀드'(KOIF)를 조성한다.
해당 펀드는 건설사가 해외사업을 위해 만드는 법인의 자본금으로 쓰인다. 정부가 투자한 사업이기에 산업은행·수출입은행은 물론 민간금융이 따라서 투자하거나 융자해주는 효과가 있다.
국토부는 3년간 20억 달러의 펀드를 마중물로 투자하면 실제로는 10배인 200억달러의 투자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했다. 또 KOIF는 달러화로 조성된 펀드라 환율변동에 따른 위험이 최소화되고, 20억 달러 규모라서 중·대규모 프로젝트 진출이 가능해진다.
특히 해외국부펀드나 다자개발은행(MDB)과 공동투자를 통해 위험을 분산하고, 정부 추천 사업인 만큼 상대국 정부와 정치적 불안 요소를 해결할 수 있다.
국토부는 KOIF 운용 수익률을 6%로 예상하고 있다. 앞서 같은 목적으로 조성된 3500억원 규모의 글로벌인프라펀드(GIF)는 내년이면 모두 소진될 전망이다.
KOIF 투자 검토 대상에는 우선 한국수자원공사(K-water)가 사업개발 및 운영사로 참여하는 조지아 수력발전 프로젝트가 있다. 러시아와 터키 사이에 있는 조지아의 스와네티 지역에 수력발전댐을 건설하는 사업으로 총사업비는 10억 달러 규모다.
이 사업을 포함해 인도네시아 석유화학사업(8억 달러)·요르단 풍력발전 사업(1억5000만 달러)은 수주가 확정된 상태다.
터키화력발전사업(180억 달러)·폴란드열병합발전사업(2억 달러)·인도네시아공항사업(4억 달러)·베트남도시철도사업(22억 달러) 등 다양한 해외 인프라 건설사업 수주가 추진되고 있다.
국토부와 투자공사는 이들 사업 가운데 중규모 사업부터 KOIF 자금 투자대상을 판단하고 추후 대규모 사업까지 투자를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국토부는 해외건설 지표를 수주액 같은 외적인 지표에서 매출액 대비 수익률 같은 질적인 지표로 전환하는 작업을 추진해 이르면 내년부터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해외건설협회 지부를 중심으로 현지 진출기업 간 과당경쟁을 조정하고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동반진출 여건도 조성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