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훈 새누리당 정책위의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한중FTA 대책 논의를 위한 당정협의를 마친뒤 당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당정은 수출 부진을 타개하고 경제 활성화를 위해 한·중 FTA의 조속한 비준이 필수 불가결하다는 것을 재확인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새누리당과 정부(당정)는 28일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비준동의안 조기 처리를 위해 공조를 강화하는 동시에 여·야·정 정책협의체의 조속한 가동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사진은 28일 한중FTA 당정협의에 나선 김정훈 새누리당 정책위의장[사진제공=새누리당]
앞서 여야 원내대표는 지난 5일 한중 FTA의 신속한 비준 동의를 위해 오는 30일부터 여·야·정 협의체를 가동하기로 합의했지만, 새정치민주연합이 한중FTA '추가 협상'을 요구하며 여야정 협의체 참가를 보류하겠다고 밝혀 협의체 가동이 요원한 상황이다.
김 정책위의장은 "야당이 이번 주 금요일(30일)부터 가동하기로 했던 협의체 구성에 미온적인 만큼, 우선 협의체의 빠른 정상화를 위해 당정이 야당을 설득하는 작업에 집중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당정협의 모두발언에서 "실질적으로 우리 농산물을 많이 보호했다. 할 만큼 했다"면서 "올해 한·중 FTA가 발효되면 두 번에 걸친 관세 인하 효과가 있다. 이는 중국시장에 대한 선점 효과를 극대화하는 데 꼭 필요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국과 FTA를 맺은) 중국과 베트남, 뉴질랜드도 비준 절차를 속도감 있게 진행 중이며 각국은 한국이 국회에서 비준동의안을 처리하는지를 지켜보고 있다"고 밝혔다.
원유철 원내대표도 당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야당은 10월 30일부터 여·야·정 협의체 활동을 시작하기로 한 약속을 꼭 반드시 지켜달라"고 촉구했다.
김 정책위의장도 "한·중 FTA 등이 연내 발효되려면 국무회의 의결 등 최소 20일 이상이 소요되므로 늦어도 11월 말까지 비준안이 국회에서 통과돼야 한다"면서 여·야·정 협의체의 조속한 구성을 야당에 촉구했다.
한편 이날 당정협의회의에는 당에서는 김 정책위의장·조원진 원내수석부대표를 비롯해 안효대(농해수)·이진복(산업)·권성동(환노)·심윤조(외통)·강석훈(기재) 등 국회 내 한중FTA 관련 상임위원회 간사들이, 정부에서는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기획재정부·외교부·해양수산부·환경부 등 관계부처 차관들이 참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