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 별빛으로 우주 연구…'현대천문학의 요람' 소백산천문대를 가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11-01 13:5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소백산천문대의 모습. 녹색지붕이 연구교육동(2010년 준공), 붉은색 지붕이 망원경 관측동이다. 관측동 왼편에 신라 첨성대를 재현한 첨성관이 보인다. 1978년 9월 29일 준공식 당시 숙소동, 변전실, 관측실, 연구동, 첨성관, 공작동 등의 시설이 있었다. 첨성관에는 구경 20cm의 태양망원경이 있었으나 현재는 비어있다. [사진=한국천문연구원 제공]


아주경제 최서윤 기자 = “천문학자들은 왜 산 위로 올라갈까요?”

지난 29일 충북 단양에 있는 소백산천문대를 찾았다. 죽령탐방지원센터에서 걸어서 두 시간, 차로 50분 거리다. 6.8km인 이 구간에 거리 축척에 따라 각 행성 정보를 담은 해설판이 설치돼 있다. 한국천문연구원의 아이디어다. 탐방로를 걸으며 태양계의 크기와 상대적인 거리를 직접 체험해볼 수 있다. 2km 거리인 혜성 쉼터까지 걷다가 차를 탔다.

성언창 소백산천문대 대장은 “이곳은 해발 1378m”라며 “지상보다 15% 정도 공기가 없다. 민감한 분들은 머리가 아프실 거다”라고 입을 열었다.

성 대장은 “별빛이 반짝거리면 별을 또렷하게 볼 수 없는데 별빛이 반짝거리지 않는 곳이 우주 공간이다. 공기가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별을 잘 보려면 주변에 불빛도 없어야 한다”며 “이것이 바로 소백산에 천문대를 만든 이유”라고 했다. 실제로 소백산천문대는 보름달이 뜨지 않는 한쪽 팔을 쭉 뻗었을 때 손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깜깜하다. 날씨가 맑은 것도 한몫했다. 소백산은 1년 중 맑은 날씨가 30% 정도 된다.

소백산천문대는 대일청구권 자금으로 1974년 지어졌다. 우리나라 최초의 현대식 천문대다. 임인성 천문연 글로벌협력실장 겸 책임연구원은 “당시 한참 살기 어려울 때 그 돈을 과학기술에 썼다는 것이 굉장히 놀랍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1978년 12월 17일 “오늘부터 관측일지를 적는다”

 

1978년 쓰인 관측일지 표지. [사진=최서윤 기자]

1975년 12월 27일은 소백산천문대에 있는 지름 61cm의 거울이 장착된 반사망원경이 신고식을 한 날이다. 처음으로 오리온 대성운을 관측한 것이다. 성 대장은 “이 망원경은 당시 유명했던 망원경 제조사인 미국의 볼러&치븐스가 만든 것”이라며 “전 세계에 이 망원경과 똑같은 쌍둥이들이 많은데 지금은 사용을 안 한다”고 했다. 그는 “소백산천문대에 좀 더 큰 망원경이 없는 데다 어쨌든 연구는 계속 해야 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61cm 망원경으로 미국항공우주국(NASA)보다 2년 7개월 먼저 식쌍성 공전 주기를 측정해 ‘두 개의 태양을 도는 행성’을 최초로 발견하기도 했다. 미국 천문학회지에서 최근 2년간 가장 많이 인용된 논문 5편 중 하나로 선정됐다.

관측일지도 적었다. 1978년 9월 준공식을 하고 나서 같은 해 12월 17일부터 시작했다. 관측일지 첫 장에는 “오늘부터 관측일지를 적는다”라고 쓰여있다. 작성자의 소속, 관측 목적, 논문 주제, 날씨를 기록했다. 박찬영 천문연 연구원은 “1978년 이후로 관측일지를 매일매일 쓰고 있다”며 “지금은 디지털화가 됐기 때문에 컴퓨터로 쓴다”고 했다.



 

1978년 12월 17일자 관측일지. [사진=최서윤 기자]


◇21세기 소백산천문대의 역할…이제는 연구·교육에 집중

61cm 망원경 나이도 올해로 41세가 됐다. 시간이 지나면서 별을 더 자세히 관측할 수 있는 성능이 뛰어난 망원경들이 많이 나왔다. 그래도 61cm 망원경의 역할은 남아있다. 성 대장은 “소백산천문대에 있는 망원경은 장기 관측 프로젝트에 많이 사용한다”며 “오랜 시간에 걸쳐 변하는 천체가 많은데 변광천체나 위성, 소행성 등을 관측하고 식쌍성의 진화를 20년 동안 연구한다”고 했다.

소백산천문대 용도는 현재 교육에 많이 집중돼 있다. 천문학 전공 대학생들을 위한 프로그램, 고등학교 천문 연구·교육 프로그램, SF 작가 워크숍 프로그램 등이 있다. 일반 시민도 동호회 등 단체로 신청하면 소백산천문대를 체험해볼 수 있다. 특히 작가 워크숍 프로그램은 2009년부터 매년 2회, 2013년부터 3회씩 진행하고 있는데 25명 정도의 작가와 각종 예술가가 참여한다. 이들은 과학자 5~7명과 소백산천문대에서 2박 3일 동안 머물며 과학과 예술·문학에 대해 토론한다.

성 대장은 “일본이 올해 과학 부문에서 노벨상을 받았는데 그 원동력은 그 나라의 국민 마인드가 과학 문화가 형성돼 있기 때문”이라며 “과학을 문학이나 예술 작품에 집어넣어 국민적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것이 우선이라고 생각해 문화·예술 종사자들과 소통 기회를 늘리고 있다”고 했다.

성 대장은 이어 “과학 자체가 문화가 돼야 한다”며 “과학적 지식을 계속 설명한다고 해서 일반 국민이 과학을 대하는 마인드가 바뀌는 게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망원경 관측동 내부 모습(일반인에게 비공개). 연구원들이 61cm 망원경을 통해 이곳에서 별을 관측하고 기록한다. [사진=최서윤 기자]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