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원미술관, 27일부터 ‘송윤주 초대전’ 열어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11-06 12:0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송윤주 초대전 포스터[사진=한원미술관 제공 ]

아주경제 조성진 기자 = 송윤주 개인전 ‘以象世界-상으로 본 세계’가 오는 27일부터 11월14일까지 한원미술관에서 열린다.

송윤주 작가는 동양 철학서인‘역경(주역)’의 64괘에서 모티브를 착안, 음양기호를 통해 상을 만들고 이 상에 의미를 내포하여 세계를 표현하고자 했다.

‘역경’에선 ‘음’과 ‘양’의 기호가 등장하고 이를 세 번 반복하여 얻어진 8가지 조합, 즉 8괘를 통해 총 64가지의 관계현상을 창조한다. 이것이 64괘다. 작가는 이 중에서 이번 전시 작품의 대상이 될 30괘를 우연적 방식으로 선정했다. 작가에게 있어서 인생에 대한 의문이 있을 때마다 삶의 지침과 같은 역할을 해준 ‘괘’는 서로 관계하여 또 다른 ‘상’으로 탄생하고 이렇게 만들어진 것이 이번 전시에서 주로 선보이는 ‘괘상 시리즈’다.

송윤주 작가는 “내게 있어 괘상은 세상의 현상과 치환되는 기호”라며 “선택이 내 삶에 다가올 때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에 의문이 일 때, 삶의 의미를 찾을 때, 자연의 원리와 질서를 알고 싶을 때 동양철학은 지침이나 단서를 제공한다”고 말했다.

고대 기호에 원형의 모티브가 더해지고 이를 통해 인간 삶의 관계를 되짚어보고자 하는 송윤주 작가의 이번 작업의 뿌리는 2000년대 초·중반의 소(素) 연작에서부터 시작됐다. 안료를 얹히고 긁는 작업을 반복해 뭉친 실타래 같은 형상을 그린 소 연작은 이후 동양 고대의 상형문자들을 변형시킨 모티브와 결합돼 인간 삶에 대한 서사적 내용이 더해진다.

문자는 보다 적극적으로 이미지화되어 풍경과 같은 형태로 기호화되고 종국에는 인간과 자연, 우주 만물의 관계성에 대한 이야기로 치환되는 것이다.

이번 전시에서는 30개의 괘의 의미를 원형 기호와 함께 상징적으로 표현한 ‘괘 시리즈’, 괘의 조합으로 의미의 전복 혹은 강조를 꾀한 ‘괘상 시리즈’, 8괘의 텍스트의 의미를 상형문자화 한 ‘상 시리즈’, 총 세 개의 시리즈 50여점으로 구성된다.

깊이 있는 동양철학의 연구와 다양한 재료 및 기법을 통해 현대인들에게 보다 친숙한 방식으로 다가가고자 하는 작가는 이번 전시를 통해 그 깊이와 가치가 더욱 빛을 발할 것으로 보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