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지도부 8명은 11일 낮 12시에 다시 모여 선거구 획정 담판을 재차 시도하기로 했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 원유철 원내대표, 조원진 원내수석부대표, 이학재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여당 간사와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 이종걸 원내대표, 이춘석 원내수석부대표, 김태년 정개특위 야당 간사는 이날 밤 9시부터 11시45분까지 3시간 가까이 회동을 갖고 오는 13일 법정처리 시한인 선거구획정 문제에 대해 논의했지만 접점을 찾지 못했다.
정개특위 야당 간사인 김태년 의원은 회동 직후 브리핑을 통해 "오늘은 양당에서 검토할 수 있는 안을 다 내놓고 충분히 논의했다"면서 "합의에 이르지는 못했지만 내일(11일) 다시 만나 또 논의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여야는 이날 협상에서 지역구과 비례대표 의원 숫자를 놓고 최종적인 합의에 이르지 못했고,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 여부를 놓고 여야가 첨예하게 대립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의당 심상정 대표는 회동이 끝날 무렵 협상장에 들어가 비례대표 수 축소에 반대한다는 정의당의 입장을 양당 지도부에 전달하기도 했다.
심 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비례대표 수 축소는 안 되고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도입하라는 말을 정의당의 민원사항쯤으로 취급해서는 곤란하다"며 "이런 식으로 선거구를 정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강하게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날 선거구 획정 관련 합의가 도출되지 못하면서 국회는 사흘 남은 선거구 획정안 확정 법정시한(11월 13일)을 지키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이로 인해 11일 낮 '4+4' 재회동에서도 여야가 합의를 도출할 가능성은 불투명한 상황이다.
김 대표는 회동 직후 기자들과 만나 "오늘(11일)까지 꼭 처리를 하려고 했는데 (여야 지도부로부터) 결단이 안 나왔다"면서 "이 협상이 워낙 예민한 문제라서 얘기를 할 수 없다"며 말을 아꼈다.
문 대표도 회동 직후 11일 회동에서 결론이 날 가능성을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계속 이야기 해봐야 한다"고만 답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