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문재인, 심야회동서 선거구 합의 '불발'…오늘 4+4 재회동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11-11 06:2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석유선 기자 = 김무성, 문재인 여야 지도부는 10일 저녁 '4+4 회동' 형식으로 만나 내년 20대 총선에 적용될 선거구 획정 문제를 논의했지만 합의 도출에 실패했다.

여야 지도부 8명은 11일 낮 12시에 다시 모여 선거구 획정 담판을 재차 시도하기로 했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 원유철 원내대표, 조원진 원내수석부대표, 이학재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여당 간사와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 이종걸 원내대표, 이춘석 원내수석부대표, 김태년 정개특위 야당 간사는 이날 밤 9시부터 11시45분까지 3시간 가까이 회동을 갖고 오는 13일 법정처리 시한인 선거구획정 문제에 대해 논의했지만 접점을 찾지 못했다. 
 

취재진 바라보는 김무성 문재인 (서울=연합뉴스) 이상학 기자 = 새누리당과 새정치민주연합 양당 지도부는 내년 4월 20대 총선에 적용할 선거구 획정안을 논의하기 위해 10일 오후 국회 귀빈식당에서 '4+4 회동'을 가졌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오른쪽)와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취재진을 바라보고 있다. 2015.11.10 leesh@yna.co.kr/2015-11-10 21:52:56/[<저작권자 ⓒ 1980-2015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정개특위 야당 간사인 김태년 의원은 회동 직후 브리핑을 통해 "오늘은 양당에서 검토할 수 있는 안을 다 내놓고 충분히 논의했다"면서 "합의에 이르지는 못했지만 내일(11일) 다시 만나 또 논의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여당 간사인 이학재 의원은 "선거구 획정과 관련해서 나올 수 있는 얘기는 다 했다"며 "오늘 논의된 부분을 각 당에서 검토한뒤 내일 낮 12시에 만나서 같은 형식의 회동을 갖고 최종 합의를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여야는 이날 협상에서 지역구과 비례대표 의원 숫자를 놓고 최종적인 합의에 이르지 못했고,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 여부를 놓고 여야가 첨예하게 대립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의당 심상정 대표는 회동이 끝날 무렵 협상장에 들어가 비례대표 수 축소에 반대한다는 정의당의 입장을 양당 지도부에 전달하기도 했다.

심 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비례대표 수 축소는 안 되고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도입하라는 말을 정의당의 민원사항쯤으로 취급해서는 곤란하다"며 "이런 식으로 선거구를 정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강하게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날 선거구 획정 관련 합의가 도출되지 못하면서 국회는 사흘 남은 선거구 획정안 확정 법정시한(11월 13일)을 지키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이로 인해 11일 낮 '4+4' 재회동에서도 여야가 합의를 도출할 가능성은 불투명한 상황이다.

김 대표는 회동 직후 기자들과 만나 "오늘(11일)까지 꼭 처리를 하려고 했는데 (여야 지도부로부터) 결단이 안 나왔다"면서 "이 협상이 워낙 예민한 문제라서 얘기를 할 수 없다"며 말을 아꼈다.

문 대표도 회동 직후 11일 회동에서 결론이 날 가능성을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계속 이야기 해봐야 한다"고만 답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