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노승길 기자 = 10월 취업자 수 증가 폭이 5개월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히 10%를 넘나드는 등 심각했던 청년실업률은 29개월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지며 고용 관련 지표가 대체로 개선된 모습을 보였다.
통계청이 11일 발표한 '10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 달 취업자 수는 2629만8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4만8000명 증가했다.
이는 37만9000명 늘었던 지난 5월 이후 5개월 만에 최고 수치다.
경제활동인구는 작년보다 50만4000명 늘어났고, 고용률은 60.9%로 같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6.2%로 1년 전보다 0.5%포인트 상승했다.
청년층(15∼29세) 고용률은 41.7%로 작년 같은 달보다 1.1%포인트 올라갔다.
전체 실업률은 3.1%로 0.1%포인트 내렸다. 이는 2013년 11월(3.1%) 이후 가장 낮은 것이다.
통상적으로 9∼10월은 학생들이 학업에 복귀해 경제활동인구가 줄어들고 추수가 있는 농번기라 농림어업 일자리가 늘어나는 시기이기 때문에 실업률이 다른 달보다 낮아진다.
지난달 청년 실업률은 7.4%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0.6%포인트 하락했다. 전월보다는 0.5%포인트 떨어져 2013년 5월(7.4%) 이후 29개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지난 6월 10.2%까지 치솟았던 청년 실업률은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세다.
청년층(15∼29세) 취업자 수는 395만1000명으로 작년 동기보다 10만1000명 늘었고 고용률은 41.7%로 1.1%포인트 상승했다.
심원보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3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늘어나고 부진했던 생산이 9월 들어 54개월 만에 최대 증가 폭을 보이면서 제조업 취업자가 많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50대 이상 고령층을 중심으로 일자리가 늘어나는 흐름은 계속됐다.
지난달 50대 취업자는 12만5000명, 60세 이상은 13만6000명 늘어 청년층 취업자보다 증가 폭이 더 컸다.
또한 늘어난 일자리의 '고용의 질'은 그다지 좋지 않았다.
직업별로 봤을 때 경비, 배달, 건물 청소 등 단순노무 종사자가 13만6000명 늘어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수와 같은 규모로 증가했다.
지위별로 보면 상용근로자가 48만7000명(4.6%) 증가한 가운데 임시근로자도 10만1000명(2.0%) 늘었다. 일용근로자는 8만2000명(-5.1%) 감소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601만2000명으로 1년 전보다 17만6000명(1.1%) 증가했다.
취업준비생은 63만7000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8만2000명(14.7%) 늘었다.
'쉬었음' 상태에 있는 비경제활동인구는 50∼60대를 중심으로 12만7000명 증가했다. 50대에서 3만3000명, 60대 이상에서 8만8000명 증가했다.
구직단념자는 47만1천명으로 올해 6월(44만명)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다른 직장을 구하는 취업준비자와 입사시험 준비생 등 사실상 실업자를 고려한 체감실업률은 10.5%를 나타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