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휴넷 제공]
24일 휴넷은 최근 직장인 887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10명 중 4명(35.6%)이 재직 중인 회사의 인사평가 제도를 신뢰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고 밝혔다.
공정한 인사평가를 위해 개선돼야 할 점에 대해서는 ‘명확한 평가 기준’이 51.5%로 가장 많았다.
이어 ‘평가 과정의 투명한 공개’(25.3%), ‘피드백·코칭에 대한 프로세스 확립’(13.6%), ‘평가자에 대한 교육’(8.0%) 순이었다.
응답자의 47.0%는 ‘약간 부담을 느낀다’고 답했고, ‘보통’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21.1%를 차지했다. ‘매우 부담을 느낀다’는 20.0%, ‘별로 부담을 느끼지 않는다’는 11.0%였다.
인사평가를 신경 쓰는 이유는 ‘연봉인상률이 결정되기 때문’이라는 답변이 35.2%로 가장 많았다. ‘사내에서 인정받는 기회이기 때문’이라는 답변은 30.7%였다.
인사평가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요소로는 ‘업무성과’(71.1%)를 첫손에 꼽았다. 이어 ‘평가자와의 친밀도’(12.5%), ‘근무태도’(5.6%), ‘회사에 대한 충성도’(5.6%) 등이 나왔다.
현재 회사의 인사평가 방식은 61.0%가 ‘상대평가’라고 답했다. ‘절대평가’는 39.0%였다. 응답자들은 절대평가(62.5%)를 선호했다.
휴넷 관계자는 “개인의 성과차이는 크지 않으나 등급을 나누고 보상으로 이어지다 보니 직원들에게는 부담일 수밖에 없다”면서 “보상을 위한 평가가 아닌 개인과 조직의 발전을 위한 명확한 평가기준 정립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