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이채열 기자 =영상물등급위원회(위원장 이경숙)는 세계 영화 등급분류 기구들과 지속적인교류협력과 등급분류 제도 발전을 위해 11월 26일(목) 오후 1시 30분 부산 벡스코에서 <2015 국제 영화 등급분류 포럼>을 개최한다.
3회째를 맞이하는 이번 포럼은 캐나다, 독일, 싱가포르, 일본, 필리핀, 태국 등에서 정부기관, 공공기관, 민간기관 등 각 나라마다 상이한 존립 근거를 가진 기구들이 참여하여 세계의 최신 등급분류 경향과 흐름을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등급분류 제도는 나라마다 사회적 특성과 문화적 전통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어린이와 청소년 보호를 위한 내용정보 제공이라는 공통된 가치를 지향하는 점은 세계 어디나 동일하다.
독일 영화 등급분류 기구 FSK 스테판 린츠(Stefan Linz)는 프랑스 심리학자 ‘장 피아제’ 인지발달이론에 따라 6세미만 아동은 허구와 실제를 구분하는 능력이 없기 때문에 독일은 ‘6세관람가’를 통해 유아 및 미취학 아동을 보호하며, 등급분류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위해 명예직위를 가진 280명의 심사관들이 윤번제 형식으로 등급을 분류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일례로 국내에 개봉돼 많은 인기를 끌었던 <빅 히어로>, <박물관이 살아있다>는 국내에서 전체관람가(G) 등급을 받아 누구나 볼 수 있지만, 독일에서는 6세관람가로 6세미만의 미취학 아동은 볼 수 없다. 이런 차이는 우리나라 전체관람가 등급(0세-만11세)을 독일과 네덜란드는 0세와 6세로 세분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세계의 등급분류 기구들은 동일한 장면이라 할지라도 각 연령에 따라 유해성의 정도가 다르므로, 많은 국가들이 저연령 등급을 세분화하거나 PG(Parental Guidance) 등급과 같은 부모의 관람지도 등급을 운영함으로써 미취학 아동을 보호하고 보다 정확한 영화등급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Consumer Protection BC 디렉터 스티븐 펠튼(Steven Pelton)은 다른 나라와 달리 각 주별로 별도의 등급분류 시스템을 운영하는 캐나다 사례를 소개하며, 등급분류는 학부모, 소비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주목적임을 강조한다. 또한 ’Advisory’ 제도를 통해 상영등급 이외에 영화 내용에 포함된 선정성, 폭력성 등의 다양한 정보를 미리 소비자에게 제공한다.
이처럼 청소년 자녀를 둔 학부모, 일반 소비자에게 영화의 내용정보를 사전에 제공하는 것은 세계의 미디어 선진국에서 보편적으로 채택하고 있다. 영국, 호주, 싱가포르는 ‘Consumer Advice(소비자 정보제공)’, 미국은 ‘Rating Descriptors(내용기술)‘ 제도를 운영하여 보다 정확한 정보를 가지고 영화를 선택, 관람하도록 등급분류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다.
‘한국의 영화 등급분류 발전방안’에 대해 발제하는 임정택 연세대 미디어아트연구소장은 0세부터 만11세까지를 대상으로 하는 국내 전체관람가 등급의 범위와 12세, 15세관람가 등급의 경우 보호자 관람시 미취학 아동의 영화관람이 가능한 국내 등급분류 제도의 특이점을 소개하고 영상물 플랫폼과 소비형태의 변화를 고려하여 우리나라도 미국의 PG(Parental Guidance) 등급이나 해외 6세등급과 같이 전체관람가 등급의 세분화 필요성을 설명한다.
이 밖에 싱가포르 MDA는 미디어 컨버젼스 시대의 플랫폼 경계가 모호해짐에 따라 모든 미디어 콘텐츠에 적용할 수 있는 등급분류 체제를 발전시키기 위한 자국의 연구결과를 소개하며, 필리핀 MTRCB는 등급분류 시스템을 통한 부모와 청소년의 올바른 영화관람에 대해 발표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