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블룸버그 자료에 따르면 한국시간으로 올해 들어 지난 4일까지 코스닥 지수는 26.3% 올라 세계 주요 60개 주요 국가대표 지수 가운데 7위를 기록했다. 코스피지수는 3.07% 상승해 24위를 차지했다.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증시는 베네수엘라로 239.94%를 기록했다. 중국 선전의 57.81%(2위)와 아르헨티나의 52.36%(3위)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미국 증시의 주요지수인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0.14%(29위),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1.59%(26위), 나스닥 지수는 8.58%(18위) 각각 상승했다.
중국 증시는 선전 증시와 상하이 증시가 차별적인 흐름을 보였다. 선전종합지수는 57.81% 올라 전 세계 주가상승률 2위를, 상하이종합지수는 8.98% 상승해 17위를 각각 기록했다.
중국 증시는 인민은행의 금리 및 지급준비율 연속 인하와 후강퉁(상하이증시와 홍콩증시 연계) 시행 기대 등으로 작년 11월 이후 올해 6월까지 빠르게 상승했다.
일본 닛케이225지수는 11.77% 오르며 11위를 기록, 상대적으로 양호한 성과를 냈다.
닛케이지수는 6월에 2만선까지 올랐다가 중국발 쇼크로 가파르게 떨어졌다. 이후 다시 낙폭을 만회하며 1만9500선까지 올라섰다.
유럽증시는 최근 유럽중앙은행(ECB)의 추가 부양책 기대로 올해 부진을 털어내는 모습이다.
덴마크 증시가 35%(5위)로 유럽증시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고 아일랜드 29.26%(6위), 이탈리아 15.83%(8위), 핀란드 13.42%(9위), 오스트리아 13.35%(10위)가 상대적으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프랑스는 10.35%(13위) 올랐고 유럽 최대 경제국인 독일은 9.65%(14위) 상승했다.
반면 영국은 4.99%(35위) 떨어졌다. 디폴트 위기에 시달렸던 그리스 증시는 26.46%(58위) 하락해 꼴찌 수준을 보였다.
남미의 주요 원자재 국가들의 주가도 추락했다. 브라질은 원자재 가격 하락과 중국발 경제위기, 정치적 혼란 등으로 9.29%(43위) 하락했다. 콜롬비아와 페루도 각각 30.8%(59위), 31.24%(60위) 떨어져 최하위권을 기록했다.
유가 하락으로 산유국 증시도 큰 타격을 입었다. 중동 최대 산유국인 사우디아라비아 증시는 13.57%(50위) 하락했다. 쿠웨이트 11.43%(47위), 오만 12.52%(48위), 카타르 14.70%(53위), 아랍에미리트 15.10%(54위) 등의 비율로 떨어졌다.
한편 이번 조사는 미국의 주요지수 3개(다우지수, S&P500지수, 나스닥지수), 중국 주요지수 2개(상하이종합지수, 선전종합지수), 한국 주요지수 2개(코스피지수, 코스닥지수), 홍콩 주요지수(항셍지수, 항셍H지수)를 구분해 60개 지수의 주가상승률을 비교한 결과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