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경희대, 한양대, 이화여대, 한국외대, 성신여대, 단국대, 인하대, 국민대 등 8개 대학 총학생회 등 수도권지역 대학생들은 서울정부청사 앞에서 지난 2일 일방적인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사업 추진을 규탄하고 교육부에게 간담회를 요청하는 기자회견을 했다.
최근 인하대, 중앙대, 경희대를 비롯한 수도권지역 대학들이 정부의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프라임) 사업 선정을 위한 계획수립에 돌입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대학생들이 반대에 나서면서 갈등이 커질 조짐이다.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사업 예산은 프라임 사업이 2362억원, 대학 인문역량 강화(CORE)사업은 당초 344억원에서 600억원으로 늘어난 가운데 평생교육단과대학사업이 300억원이다.
인하대 문과대학생회는 지난 1일부터 3일까지 국문·사학·중문학과를 남기고 영문·일문과는 50% 이상 정원을 감축하는 한편 불문·철학과를 폐지하고 문화콘텐츠·문화경영학과는 단과대를 이전하는 구조조정안 철회에 대해 투표를 실시한 결과 94.1%가 찬성하기도 했다.
중앙대는 최근 예술대학 정원을 150~200명 줄이고 글로벌융합대학이라는 단과대학을 신설하겠다는 방안을 내놔 반발을 사고 있다.
이들 대학이 이같은 방안을 내놓는 것은 지원액이 최대 300억원에 이르는 프라임 사업을 유치하기 위한 것이다.
교육부는 수도권 대학 가운데 2곳만 선정하는 계획으로 다른 권역보다 유치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갈등만 커지고 예산은 따지 못하는 경우가 속출할 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날 학생들은 새롭게 신설되는 사업에 막대한 예산이 집행되는데도 충분한 의견수렴과 논의절차가 부족하다며 교육부와 대학생 간담회를 개최할 것을 요구했다.
학생들은 프라임 사업이 청년일자리 문제의 책임을 대학과 학생들에게 전가시키는 책임회피라며 대학들이 쓸데없는 학문을 가르치거나 취업에 도움이 되지 않는 전공을 선택했기 때문에 발생한 것처럼 호도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또 교육부가 대학교육의 장기적 전망을 내놓기보다 대학을 취업양성기관으로 전락시키는데 일조하고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코어사업에 대해서도 사실상의 인문학 통폐합정책으로 융․복합 모델에 활용되도록 돼 있는 가운데 연관성이 부족한 학과 간 강제적인 통합이나 타 전공계열에 흡수되는 경우가 될 확률이 높고 근본적 대책이 될 수 는 없을 것이라고 했다.
사업 선정을 위한 학사개편 계획을 내년 1월 중순까지 제출해야 하는 가운데 단기간에 만들어진 구조조정안으로 새롭게 입학하는 학생들의 학과가 사라질 위기에 처할 수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학생들은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이라는 미명하에 대학구조를 뒤흔들 핵폭탄급 구조조정정책이 눈앞에 놓여있다”며 “대학교육이 점점 경쟁중심의 상업논리에 지배되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는데 교육부는 오히려 대학의 목표를 취업을 위한 곳으로 규정하고 대대적인 구조조정을 예고하고 있어 제 역할을 배신하고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