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개혁, 고용불안 유발 비혼 부추겨…고령화 대책은 기존 계획 '재탕' 수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12-11 08:2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정부, 3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실효성 있나

  • 자동육아휴직제 지켜질지 미지수

  • 노인예산 70% 고정지출격 기초연금

서울 종로 종묘고원 앞을 노인이 걸어가고 있다.[사진=김세구 기자 k39@aju]


아주경제 조현미 기자 = 정부가 10일 발표한 '제3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2016~2020)은 저출산 대응에 집중되면서 고령화 대책은 재탕삼탕하는 수준에 그쳤다.

더구나 새로 내놓은 저출산 해결책들은 완성도가 떨어져 실제 출산율을 끌어올릴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제3차 기본계획을 보면 노동개혁을 통한 청년일자리 창출이나 신혼부부 대상의 임대주택 13만5000호 공급, 임신·출산 진료비를 사실상 전액 지원하는 등 기본계획 중 알맹이가 있는 부분은 주로 저출산 문제와 관련된 것들이다.

이를 통해 합계출산율을 2014년 1.21명에서 2020년에는 1.5명으로 올려 초저출산을 탈피하고, 장기적으로는 2030년 1.7명, 2045년에는 인구대체 수준인 2.1명까지 늘리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반면 고령화 대책과 관련해서는 그동안 추진해왔던 국민연금 사각지대 해소나 주택연금·농지연금 확대 외에는 새로운 내용이 없다. 주택연금이나 농지연금은 개인의 재산 수준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한계도 있다.

이는 예산 추정치만 들여다봐도 확인할 수 있다. 기본계획과 관련한 내년 예산 34조5345억원 중 고령사회 분야는 14조712억원인데, 이 중 대부분인 10조3000억원은 고정지출 성격인 기초연금에 투입되는 예산이다.

정부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최고 수준으로 악명이 높은 노인 상대빈곤율(중위소득 50% 이하 노인수/전체 노인수)을 작년 49.6%에서 2020년 39%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하지만 실효성 있는 대책이 눈에 띄지 않는다.


노인의 고용 질을 높이는 대책도 빠져있다. 2012년 기준 경제 활동 중인 노인의 60.6%가 임시직 종사자이며 33.2%는 시간제로 일하고 있다. 통계청의 경제활동 인구조사(2014년)에 따르면 노인의 42.6%가 농림어업 종사자이며 21.0%는 단순 노무직이다.
 

[아주경제 자료사진]


정부가 내놓은 저출산 해결책의 실효성도 의문이다. 청년일자리 창출 방법으로 제시한 임금피크제, 근로시간 단축 등의 노동개혁은 오히려 고용불안 등 고용의 질을 떨어뜨려 만혼이나 비혼을 부추길 수 있다는 지적이다.

육아휴직 이용권 보장을 위해 출산휴가 신청 때 육아휴직이 자동 신청되는 자동육아휴직제를 확대 도입하겠다는 계획은 기업에 강제성이 없어 실제 근로현장에서 지켜질 수 있을지 미지수다.

이찬진 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회장(변호사)은 "저출산 대책으로 내놓은 노동개혁은 불안정한 비정규직의 양산을 초래할 수 있고, 기업형 임대주택(뉴스테이)은 이미 높은 임대료로 서민 주거 안정 대책으로 부적절하다는 점이 드러났다"면서 "공공부문 좋은 일자리 확대, 공공임대주택 대량 공급 등 보다 근본적이고 획기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