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조현미 기자 = 형편이 어려워 전기세나 수도세, 건강보험료를 체납하는 위기가구를 선제적으로 파악해 지원하는 정보시스템이 가동된다.
보건복지부는 14일부터 단전, 단수, 의료비 과다 지출 등 24개 정보를 관련 기관에서 취합해 복지 사각지대를 찾아내는 정보 시스템을 운영한다고 11일 밝혔다.
생활고에 막다른 골목으로 내몰리는 취약계층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다.
한국전력공사는 전력 제한을 포함한 단전 정보를,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료를 체납하거나 의료비를 과도하게 부담하는 가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복지부는 이런 정보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큰 위험이 예상되는 가구를 선별하고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복지 급여나 서비스를 지원한다.
자살예방센터의 자살 고위험자, 응급의료센터의 자살·자해 시도자도 관리 대상에 포함된다.
복지부는 이른 시일 안에 화재, 자연재해 피해, 미숙아지원사업 등에 대한 정보공유 협의를 마무리해 복지 대상자 현황을 빅데이터 시스템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이번 정책은 취약계층을 더욱 선제적으로 발굴하고 적합한 지원체계를 모색하는 데 이바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