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봉철 기자 = 민간 주도의 대규모 쇼핑행사인 ‘K-Sale Day’(K-세일 데이)로 주요 기업들의 매출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산업통상자원부와 중소기업청이 지난달 20일부터 이달 13일까지 25개 주요 참여업체의 매출 실적을 집계한 결과 전년 동기대비 약 5313억원(8.4%) 증가했다.
업종별로 보면 백화점(롯데·현대·신세계)은 지난 3년간 지속적으로 매출이 둔화되고 있는 상황에서도 7.8%의 증가율을 보여 선전했다는 평가다.
온라인쇼핑(롯데닷컴·CJ몰 등)과 대형마트(이마트·홈플러스·롯데마트)는 각각 10.4%, 2.8% 씩 올랐다. 대형마트는 생필품 위주의 상품 구성으로 매출 증대가 다른 업종보다 크지는 않았지만 긍정적 효과는 입증됐다.
편의점은 23.6% 상승해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행사로 인한 매출 증가 효과보다는 담배값 인상에 따른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하이마트·전자랜드 등 전자제품 전문점은 7.3% 올랐다.
특히 ‘K-Sale Day’는 정부 주도의 각종 수치적인 측면에서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를 압도하고 있어 주목된다.
‘K-Sale Day’는 4만1000여개 점포(102개 업체), 500개 전통시장, 371개 중소 제조업체가 참여해 3만4000여개 점포(92개 업체)를 기록한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를 앞섰다.
유통산업연합회는 “지난 10월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 증가율(20.7%)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행사를 계기로 매출 증대 효과는 있었던 것으로 평가된다”면서 “다만 연이은 쇼핑행사로 행사 초기 매출 실적 모멘텀을 지속 유지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고 평가했다.
정부는 이번 행사에서 전통시장이나 중소 제조·유통업체들이 소외되지 않도록 지난 11~13일 ‘중소기업 우수상품 할인전’도 개최했다.
할인전은 일산 킨텍스·부산 벡스코 등 전국 5개 지역에서 진행, 4만7000여명의 소비자를 끌어 모았다. 이를 통해 총 371개의 중소기업과 500개 전통시장이 판매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참여시장 50개 및 소비자 200명 대상으로 진행된 설문조사 결과에서는 상인 94%, 고객 88.5%가 할인전에 만족했다고 응답했다. 조사 대상 시장의 80%가 전년 동월대비 10% 이상 매출이 증가했다. 참여고객의 90%는 해당 시장에 재방문 의사가 있다고 답했다.
정부 관계자는 “앞으로 정부 주도의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와 이번 민간 주도의 ‘K-Sale Day’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를 통해 국민적 축제에 맞는 브랜드를 개발하겠다”면서 “쇼핑행사의 내실화를 통해 내년부터 민관 합동의 정기적인 대규모 쇼핑행사를 준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15일 산업통상자원부와 중소기업청이 지난달 20일부터 이달 13일까지 25개 주요 참여업체의 매출 실적을 집계한 결과 전년 동기대비 약 5313억원(8.4%) 증가했다.
업종별로 보면 백화점(롯데·현대·신세계)은 지난 3년간 지속적으로 매출이 둔화되고 있는 상황에서도 7.8%의 증가율을 보여 선전했다는 평가다.
온라인쇼핑(롯데닷컴·CJ몰 등)과 대형마트(이마트·홈플러스·롯데마트)는 각각 10.4%, 2.8% 씩 올랐다. 대형마트는 생필품 위주의 상품 구성으로 매출 증대가 다른 업종보다 크지는 않았지만 긍정적 효과는 입증됐다.
특히 ‘K-Sale Day’는 정부 주도의 각종 수치적인 측면에서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를 압도하고 있어 주목된다.
‘K-Sale Day’는 4만1000여개 점포(102개 업체), 500개 전통시장, 371개 중소 제조업체가 참여해 3만4000여개 점포(92개 업체)를 기록한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를 앞섰다.
유통산업연합회는 “지난 10월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 증가율(20.7%)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행사를 계기로 매출 증대 효과는 있었던 것으로 평가된다”면서 “다만 연이은 쇼핑행사로 행사 초기 매출 실적 모멘텀을 지속 유지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고 평가했다.
정부는 이번 행사에서 전통시장이나 중소 제조·유통업체들이 소외되지 않도록 지난 11~13일 ‘중소기업 우수상품 할인전’도 개최했다.
할인전은 일산 킨텍스·부산 벡스코 등 전국 5개 지역에서 진행, 4만7000여명의 소비자를 끌어 모았다. 이를 통해 총 371개의 중소기업과 500개 전통시장이 판매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참여시장 50개 및 소비자 200명 대상으로 진행된 설문조사 결과에서는 상인 94%, 고객 88.5%가 할인전에 만족했다고 응답했다. 조사 대상 시장의 80%가 전년 동월대비 10% 이상 매출이 증가했다. 참여고객의 90%는 해당 시장에 재방문 의사가 있다고 답했다.
정부 관계자는 “앞으로 정부 주도의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와 이번 민간 주도의 ‘K-Sale Day’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를 통해 국민적 축제에 맞는 브랜드를 개발하겠다”면서 “쇼핑행사의 내실화를 통해 내년부터 민관 합동의 정기적인 대규모 쇼핑행사를 준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