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12/21/20151221151736422044.jpg)
새누리당 공천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은 황진하 사무총장. [사진제공=새누리당]
아주경제 이수경 기자 = 새누리당이 석 달간 끌어온 공천특별기구의 구성을 드디어 마무리지었다.
하지만 본격적인 논의의 첫 발도 떼기 전에 계파 간 기싸움이 치열했던만큼, 실질적인 공천룰을 마련하기까지는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벌써부터 우선추천제와 결선투표제 등 구체적인 공천방식을 놓고 기싸움이 시작됐다.
21일 새누리당은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당내 공천방식을 논의하게 될 공천특별기구(공천특별위원회) 인선안을 최종 의결했다. 이들은 22일 첫 회의를 열고 본격 활동에 들어간다.
위원은 총 13명으로, 비박(非朴·비박근혜)계인 황진하 사무총장이 위원장을 맡았다. 이하 9명의 위원들은 친박(親朴·친박근혜)과 비박계 인사들이 각각 6명씩 동수로 구성돼, 계파 안배에 주력한 흔적이 엿보인다.
당연직으로는 홍문표 제1사무부총장과 박종희 제2사무부총장, 권성동 전략기획본부장이 참여하게 됐다. 이밖에 홍일표·이진복·김재원·김상훈·김태흠·강석훈·김도읍 의원과 여성 위원으로 정미경·박윤옥 의원이 위원명단에 올랐다. 전현직 전략기획본부장, 홍보위원장 등의 경력이 있는 이들이다.
계파로 분류하면 이들 가운데 박종희·김재원·강석훈·김도읍·김태흠·박윤옥 의원이 친박계에 해당한다.
황 사무총장은 이날 최고위원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공천룰에 대해 지난번 의원총회에서 수용하고 보완된 것이 있어서 그것을 기초로 업무를 시작할 것"이라며, "경선참여 당원비율·우선추천지역을 어떻게 할 것인지, 추가적으로 여성과 신인, 소수자에 대해 가점을 어떻게 부여할 것인가에 대해 논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새누리당이 당초 이 공천특별기구를 만들기로 한 것은 지난 9월 말 의원총회에서였다. 그러나 위원장 선임에만 두 달이 소요됐고, 위원 구성 역시 한 달이 걸렸다.
정치 현안이 많아 논의하기가 어려웠다는 게 황 총장의 얘기지만, 사실상 각 계파가 유리한 고지를 점하기 위한 발목잡기 때문이었다는 게 정치권 안팎의 중론이다. 인선작업이 끝났지만 '본 게임'에서도 이 같은 상황이 재연될 것이란 우려가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공천특별기구 당연직으로 참여하는 홍문표 제1사무부총장은 이날 MBC 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지금 강세지역이라고 하는 곳에 우선추천제는 적용이 안 될 것"이라며 "경쟁력 있는 곳에서 많은 표를 받기 위해서는, 우선추천제 같은 것을 당헌·당규에 있는 대로 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이는 친박계에서 대구·경북(TK), 강남 등 여권이 우세한 지역도 우선추천지역으로 허용돼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과 상반된 해석이다. 앞서 친박계 핵심으로 꼽히는 홍문종 의원은 지난 16일 SBS 라디오 '한수진의 전망대'에 출연해 "TK가 됐건 강남이 됐건 이런 지역에 우선 추천 지역을 우선적으로 적용해서, 여성이 됐건 정치 신인이 됐건 소수자가 됐건 이런 분들에게 배려하고 정치를 시작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여당으로서 필요하다"고 말한 바 있다.
이에 따라 당장 공천특별기구에서 공천방식을 정하기까지도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최종적으로는 의원총회에서 추인을 받아야 한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새누리당의 공천룰과 관련해 "전략공천과 경선당원비율, 결선투표제 등 3가지가 쟁점"이라며 "가장 핵심 쟁점인 전략공천은 친박계에서 주장하지만 김무성 대표가 아마 물러서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