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12/22/20151222114821708467.jpg)
[사진=기상청 홈페이지]
아주경제 박성준 기자 = 기상청은 22일 오전 4시31분께 전북 익산 부근에서 3.9규모의 지진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당초 기상청은 규모 3.5로 판정했지만 최종 정밀 분석한 결과 3.9로 규모를 상향했다. 이는 올들어 가장 큰 규모다.
이날 지진은 오전 4시31분 25초께 전북 익산시 북쪽 9km 지역(북위 36.03도, 동경 126.96도)에서 발생했다. 3.5 이상 규모의 지진이 발생한 것은 올해 세번째다.
지난 8월 3일 제주 서귀포시 성산 남동쪽 22㎞ 해역에서 규모 3.7 지진이, 1월 8일 인천 연평도 남서쪽 18㎞ 해역에서 규모 3.5 지진이 각각 발생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지진의 규모가 3.0이상이 될 경우 사람이 느낄 수 있다. 규모 3.0 이상 지진은 통상 1년에 약 9차례 정도 발생한다는 게 기상청의 설명이다. 규모 2.9 이하는 지진계에 의해서만 탐지가 가능하며 대부분 사람은 진동을 느끼지 못한다.
국내 지진의 역대 규모는 1980년 1월 8일 북한의 평안북도 의주·삭주·귀성 지역에서 발생한 규모 5.3 지진이 가장 컸다.
공동 2위는 1978년 9월 16일 충북 속리산 부근에서 발생한 지진과 2004년 5월 29일 경북 울진 동쪽 약 80㎞ 해역에서 발생한 지진(규모 5.2)이다.
이어 지난해 4월 1일 충남 태안군 서격렬비도 서북쪽 100㎞ 해역 지진(규모 5.1)이 4위로 기록됐다.
2003년 인천 백령도 서남쪽 약 80㎞ 해역과 1978년 충남 홍성읍에서 각각 발생한 지진(규모 5)은 공동 5위로 파악됐다.
박종찬 기상청 지진화산감시과장은 "우리나라는 특정 지역에 집중되지 않고 전역에서 골고루 지진이 나타나고 규모도 크지 않아 상대적으로 안전하다"며 "이번 익산 지진 발생지는 대규모 단층이 있거나 특이점이 있는 지역은 아니며 다른 지역 지진의 전조현상 등과도 무관한 것으로 분석됐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