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12/23/20151223081457556915.jpg)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KEB하나은행은 주채권자인 KDB산업은행이 지난 11일 내놓은 4530억원 규모의 STX조선 지원안에 반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우리은행도 반대매수청구권을 행사하는 방식으로 채권단에서 빠지기로 내부적으로 합의했다. 우리은행은 이미 STX조선 여신을 ‘회수의문’ 단계로 분류하고 지난달 100%의 충당금을 쌓은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 3월 추가 지원 과정에서 시중은행들이 차례로 빠졌던 SPP조선해양의 사례와 마찬가지로 미래가 불투명한 STX조선 지원을 놓고 국책금융기관이 아닌 시중은행들은 채권단에서 발을 빼는 형국이다.
STX조선 지원 방안에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이 반대 의사를 공식 표명하면 시중은행 중에는 신한은행과 농협 정도만 채권단에 남게 된다.
신한은행은 현재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동의 여부를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STX조선해양 채권단 지분비율은 산은 48%, 수은 21%, 농협 18%, 우리은행 7%, 기타 6% 비중이다.
KEB하나은행과 신한은행의 지분율은 2% 안팎으로 큰 비중이 아니다. 시중은행들이 발을 빼더라도 산은이 제시한 4530억원의 추가 지원안은 가결될 것으로 예상된다.
산은과 수은의 지분에 찬성 의견을 낼 것이 유력한 농협의 지분을 더하면 87%에 달해 가결요건인 75%를 넘을 수 있다.
지원에 반대하는 기관들은 반대매수청구권을 행사하는 방법으로 기업의 청산가치에 해당하는 정도만 보상받고 채권단에서 이탈이 가능하다. 통상 청산가치는 매우 낮게 책정되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채권기관들은 손실이 불가피하다.
그럼에도 반대매수청구권을 행사하는 것은 추가 지원으로 돈을 떼이는 것보다는 유리하다는 판단에 근거했다는 분석이다.
채권단은 지난 2013년 STX조선 공동관리를 시작한 이후 4조원 넘게 지원했지만 재무상태는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있다. 지난 3분기에 영업이익 기준으로 451억원의 흑자전환에 성공했지만 자본잠식(-1조9114억원) 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산은 주도로 4530억원 규모의 지원안이 나오자 일각에선 ‘밑 빠진 독에 물붓기’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