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12/29/20151229154555243815.jpg)
광역급행철도(GTX) 노선도(안)
아주경제 노승길 기자 = 일산과 삼성역을 잇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가 민간투자사업으로 2019년에 착공될 전망이다.
이와 함께 서울 위례선 경전철과 서울-세종 고속도로 중 안성-세종 구간 등 총 6조원 규모의 민간투자사업이 추진된다.
기획재정부는 29일 노형욱 재정관리관 주재로 열린 제3차 민자활성화추진협의회에서 GTX 일산∼삼성 구간 등 3개 민간투자사업의 추진 계획을 논의했다.
관련기사
이번에 추진되는 민자사업 중 일산 킨텍스에서 서울 삼성을 연결하는 36.4km의 GTX 노선은 3조2000억원 규모의 사업이다. 중간 역으로는 대곡·연신내(서울)·서울역이 설치될 예정이다.
현재 한국개발연구원(KDI)에서 민자적격성조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내년중 시설사업 기본계획을 수립해 오는 2019년 착공할 예정이다.
수도권 외곽에서 서울 주요 거점을 30분대에 연결하는 광역급행철도망을 구축함으로써 수도권 교통난 해소와 장거리 통근자들의 교통복지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경기도가 요구하고 있는 파주운정지구로의 노선 확장 등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GTX는 아직 노선이 확실하게 정해지지 않았다. 앞으로 민자적격성조사 등을 거쳐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정부는 서울∼세종고속도로의 안성∼세종 구간(58km)도 민자 형태로 2020년께 착공하기로 했다. 완공은 2025년으로 계획돼 있다.
안성∼세종 구간의 사업 규모는 2조3000억원으로, 현재 민간의 사업제안서가 접수된 상태다. 정부는 내년 중 이 구간에 대한 민자적격성조사를 할 계획이다.
서울∼세종고속도로의 서울∼안성 구간(71km)은 한국도로공사가 우선 공사를 시작한 이후 민자로 전환한다. 2017년 착공해 2022년 개통하기로 했다.
지난 7월 민간의 사업 제안서가 접수된 서울 경전철 위례선 공사도 민자로 진행된다. KDI가 민자적격성조사를 하고 있다.
서울 경전철 위례선은 민자적격성조사 결과에 따라 2019년에 공사를 시작할 예정이다. 총 사업 규모는 2000억원이다.
노형욱 기재부 재정관리관은 "올해만 약 13조원 규모의 대형 민자사업이 새롭게 착수되거나 민간에서 제안됐다"며 "내년에는 더 많은 대형 프로젝트가 민자사업으로 추진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