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혜란 기자 = 일본군 위안부 협상 후폭풍이 거세다. 새누리당은 "진일보된 합의"라며 공식적으로 환영의 뜻을 나타냈지만, 더불어민주당은 '굴욕협상', '매국협상'의 책임을 따져 묻겠다며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개최를 요구했다. 더민주당에선 박근혜 대통령의 사과와 윤병세 외교부 장관의 파면을 요구하는 목소리까지 나왔다.
이종걸 더민주당은 원내대표는 29일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어제 한‧일간 합의는 50년 전 박정희 대통령이 청구권자금 3억 원에 도장을 찍은 제 1차 한‧일 굴욕협정에 이어서 제 2차 한‧일 굴욕협정이라고 단정한다"고 비판했다.
이 원내대표는 이어 "50년 전과 지금의 합의 범위 차이가 날 뿐 일본의 법적 책임, 위안부 피해자의 명예회복, 국민적 동의 그 어느 것도 얻지 못한 3무(無) 합의"라며 "우리 당은 국회에서 관련 상임위를 열어 국민 앞에 회담의 진실을 밝히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박근혜 대통령은 아직도 가족력에 있어서나 사실에 있어서나 어두운 식민지의 짙은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는 분"이라며 "근원인 아버지, 그리고 그의 딸, 부녀가 대를 이어서 일본 국가에 두 차례나 식민지 지배와 반인도적 가해 행위에 대한 면죄부를 줬다"고도 했다.
국회 외통위 더민주당 간사인 심재권 의원도 "굴욕적이고 매국적인 협상"이라며 규탄한 뒤 박 대통령의 사과와 윤 장관의 파면을 요구했다. 심 의원은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선 일본 정부의 법적 책임 인정과 진정성 있는 사죄가 핵심"이라며 "배상금 문제는 법적 책임 문제와 사죄를 선행한 뒤의 부차적 문제"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일본 정부는 법적 책임을 회피한 채 10억 엔이라는 배상금 아닌 위로금으로 위안부 문제를 덮으려 하고 우리 정부는 이런 일본 정부의 책임 회피에 동조했다"며 "위안부 할머니들이 바라는 것은 위로금이 아니라 법적 책임 인정과 진정성 있는 사죄를 받는 것이다. 박근혜 정부는 이번 협상을 통해 이런 위안부 할머니들의 소원과 국민의 염원을 송두리째 짓밟았다"고 지적했다.
야당은 일단 외통위를 열어 윤 장관을 상대로 책임을 따져 묻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이언주 더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이날 통화에서 "외통위를 개최해 현안질의를 통해 보고를 받고 그 보고에 따라서 이후 절차를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더민주당은 여당 측에 31일 외통위 개최를 요청한 상태다.
반면 새누리당은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내놨다. 원유철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어제(28일) 개최된 한일 외교장관회담에서 한일 양국이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 진일보된 합의를 이끌어낸 것을 환영한다"고 했고, 황진하 사무총장도 "아쉬운 점은 있지만 꽉 막혔던 한일관계에 새 돌파구를 만들었다는 점에서 환영한다"고 말했다. 국회 외통위원장인 나경원 새누리당 의원도 YTN 라디오에 출연해 "현실적 제약 하에 외교적으로는 그래도 잘 한 협상"이라고 평가했다.
이종걸 더민주당은 원내대표는 29일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어제 한‧일간 합의는 50년 전 박정희 대통령이 청구권자금 3억 원에 도장을 찍은 제 1차 한‧일 굴욕협정에 이어서 제 2차 한‧일 굴욕협정이라고 단정한다"고 비판했다.
이 원내대표는 이어 "50년 전과 지금의 합의 범위 차이가 날 뿐 일본의 법적 책임, 위안부 피해자의 명예회복, 국민적 동의 그 어느 것도 얻지 못한 3무(無) 합의"라며 "우리 당은 국회에서 관련 상임위를 열어 국민 앞에 회담의 진실을 밝히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박근혜 대통령은 아직도 가족력에 있어서나 사실에 있어서나 어두운 식민지의 짙은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는 분"이라며 "근원인 아버지, 그리고 그의 딸, 부녀가 대를 이어서 일본 국가에 두 차례나 식민지 지배와 반인도적 가해 행위에 대한 면죄부를 줬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일본 정부는 법적 책임을 회피한 채 10억 엔이라는 배상금 아닌 위로금으로 위안부 문제를 덮으려 하고 우리 정부는 이런 일본 정부의 책임 회피에 동조했다"며 "위안부 할머니들이 바라는 것은 위로금이 아니라 법적 책임 인정과 진정성 있는 사죄를 받는 것이다. 박근혜 정부는 이번 협상을 통해 이런 위안부 할머니들의 소원과 국민의 염원을 송두리째 짓밟았다"고 지적했다.
야당은 일단 외통위를 열어 윤 장관을 상대로 책임을 따져 묻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이언주 더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이날 통화에서 "외통위를 개최해 현안질의를 통해 보고를 받고 그 보고에 따라서 이후 절차를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더민주당은 여당 측에 31일 외통위 개최를 요청한 상태다.
반면 새누리당은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내놨다. 원유철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어제(28일) 개최된 한일 외교장관회담에서 한일 양국이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 진일보된 합의를 이끌어낸 것을 환영한다"고 했고, 황진하 사무총장도 "아쉬운 점은 있지만 꽉 막혔던 한일관계에 새 돌파구를 만들었다는 점에서 환영한다"고 말했다. 국회 외통위원장인 나경원 새누리당 의원도 YTN 라디오에 출연해 "현실적 제약 하에 외교적으로는 그래도 잘 한 협상"이라고 평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