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직장인 64.8%, “주거 불안 느낀다”..체감 원인으로는 전·월세값 급등 1위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12-29 21:3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사진제공=이지웰페어]

아주경제 권석림 기자 = 올해 정부가 매 분기마다 주택 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해 다양한 서민 주거안정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직장인들의 주거 불안 심리는 쉽게 해소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9일 이지웰페어가 최근 직장인 1065명을 대상으로 '주거안정’을 테마로 '현재 주거 불안을 느끼냐'는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10명 중 6명이 '그렇다’(64.8%)고 답했다.

또 '주거 불안을 느끼는 원인’에 대해 '전·월세값 급등’(41.8%)이란 응답이 가장 많았고, ‘대출상환 등 금융비용 부담’(34.3%)이 그 뒤를 이었다.

이 같은 결과는 ‘주거 안정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것이 무엇인가”를 묻는 질문에서도 나타났는데, 직장인 37.1%가 ‘가계부채 상황’이라고 답해 가장 많았고 이어 '생활 환경'(25.8%)과 ‘주거만족도’(16.9%)이란 응답이 잇따랐다.

앞으로 ‘2년 내 현 거주지에서 이사할 의향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서는 전체 61.5%가 ‘그렇다’고 답했다. ‘이사가 예상되는 시기’에 대해서도 임대차 계약의 만료 기한인 ‘2년 이내’(31.0%)란 응답이 가장 많았고 ‘1년 이내’(24.9%)와 ‘5년 이상 지나서’(24.8%)란 응답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3년 이내’(12.7%)가 뒤를 이었다.

특히 '현 거주지에서 이사하게 되는 가장 큰 요인'으로는 ‘주거만족도 저하’(30.5%)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임대계약 만료’(23.4%)와 '가구 소득ㆍ구성원의 변화'(15.4%)가 각각 그 뒤를 이었으며, (자녀의) ‘교육이나 학업’, '근무지 변경' 순으로 조사됐다.

이어 '향후 2년 내 주택 구매 의향이 있는가’에 대해 직장인 39.0%만 ‘있다’고 답했으며, ‘주택 구매의 목적’으로는 주거 안정을 위한 ‘실 거주’(62.0%)가 가장 많았고, 내집 마련을 통한 '주택 소유’(22.5%)와 투자ㆍ임대 형식의 ‘자산 증식’(15.5%)이란 응답이 각각 그 뒤를 이었다.

한편, ‘최근 부동산 거래나 이사에서 나타난 눈에 띄는 변화’에 대해서는 ‘새집 같은 인테리어 확장’(40.9%)이란 응답이 가장 많았고 직방, 다방과 같은 ‘부동산 앱을 활용한 정보 파악’(28.6%)과 ‘등기는 알아서, 복비는 없애는 직거래’(15.5%)가 각각 그 뒤를 이어 부동산 거래의 새로운 트렌드로 분석됐다.

남영우 나사렛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최근 몇 년간 전세가격이 상승하면서 낮은 금리를 활용하여 주택을 구입한 가구들이 증가했지만 정부의 가계부채 안정화 정책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금리인상 등으로 대출금의 상환부담이 커질 것으로 예상돼 직장인들까지도 주거불안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