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출금리가 상승하고 대출 승인율이 낮아지면, 상환능력이 취약한 서민계층부터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3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비은행예금 취급기관의 기타대출 잔액은 지난해 10월 기준 145조1000억원을 기록했다. 기타대출 잔액은 연말 기준 △2012년 106조6000억원 △2013년 116조9000억원 △2014년 131조2000억원 △2015년 6월말 138조1000억원 등으로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대부업권 대출잔액도 지난해 6월말 기준 12조3000억원에 달했다. 대부잔액은 매년말 기준 △2012년 8조7000억원 △2013년 10조원 △2014년 11조2000억원 등으로 꾸준히 증가 추세다.
최고금리를 34.9%에서 27.9%로 내리는 대부업법도 개정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저신용자들의 신용대출의 벽도 높아지고 있다. 저축은행 대출자의 신용등급별 분포를 살펴보면 지난해 3월에는 △5등급 7.0% △6등급 25.5%로 나타났지만 8월에는 △5등급 7.9% △6등급 26.5% 등으로 상대적으로 양호한 등급에서 각각 0.9%포인트와 1%포인트씩 상승했다. 반면 지난해 3월 △7등급 26.0% △8등급 17.5%를 차지했지만 8월에는 △7등급 24.8% △8등급 16.7%로 저신용자들이 차지하는 비중이 줄어들고 있다.
구정한 금융연구원 서민금융실장은 “기준금리 인상과 동시에 대부업 최고금리를 인하하면 신용등급이 낮은 사람들은 제2금융권이나 대부업권에서도 대출을 받기 힘든 현상이 벌어질 가능성이 크다”며 “햇살론과 같은 정책금융상품을 이용할 수 있는 계층은 몰라도 중산층과 서민층 사이에 끼어있는 애매한 계층이 가장 문제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가 정책금융상품의 공급을 늘린다고 했지만 제2금융권에서 애매한 위치에 있는 이들에게 매기는 대출금리가 관건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 대부업권 관계자는 “보통 기준금리가 1%포인트 상승할 때 대부업계는 차입금리는 2.5%포인트 가량 상승한다”며 “결국 원가 금리가 상승하면서 업계도 살아남기 위해서 저신용자들에 대한 대출을 줄일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