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박선미 기자 = "2015년에는 청사진에 맞게 조직과 여건을 정비했다면, 2016년은 실행에 옮기는 한 해가 될 것이고 당장 1월부터 그 성과를 보여줄 것입니다."
김용환 농협금융지주 회장은 4일 본사 집무실에서 진행된 아주경제와의 신년인터뷰에서 이같은 자신감을 드러냈다.
지난해 4월 취임 일성으로 내놨던 글로벌 진출, 핀테크 육성, 내실있는 경영 등이 실천으로 구현될 시기라는 것이다.
김 회장이 신년사 화두로 '불위호성(弗爲胡成)'을 꺼내든 것도 이같은 맥락이다. 서경(書經) 상서편에 나오는 '불려호획(弗慮胡獲) 불위호성'은 생각하고 그에 따라 실천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이룰 수 없다는 뜻이다.
김 회장은 이경섭 신임 농협은행장에 거는 기대도 컸다. 김 회장이 내세웠던 ‘농협금융 2020 중기전략’을 함께 실행에 옮길 수 있는 파트너라는 것이다. 2020 전략에는 현재 311조원인 자산을 2020년까지 380조원으로, 연간 5250억원 수준의 당기순이익을 2조원대로 끌어올리겠다는 포부가 담겨있다.
김 회장은 "이 행장은 그 누구보다 2020전략을 잘 이해하고 있는 인물인만큼 수익성 향상은 물론 여신심사시스템, 리스크 관리도 중점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김 회장은 "특히 올해는 계좌이동제,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등 소비자 선택권이 다양해진다"며 "이런 부분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지원해 고객에게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가가 경쟁의 관건이다"고 말했다.
고객을 중심으로 업무체질을 개선하겠다는 것도 이런 맥락이다. 가장 가까운 예로 콜센터를 들었다. 김 회장은 "고객들은 조금만 불편해도 거래 금융사를 바로 옮긴다"며 "고객과의 접점인 콜센터를 정비하기 위해 일종의 메뉴얼인 종합개선방안을 마련했고, 이달 중 실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본부부서의 영업점 지원도 강화했다. 김 회장은 "영업점 직원들이 고객과 소통해도 본부의 지원이 없으면 질좋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힘들다"며 "수석부행장이 소관하는 원스톱 협의체를 둔 것도 현장에서 발생하는 애로사항을 신속하게 해결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해외진출전략 역시 농협만의 강점으로 차별화했다. 해외점포라고는 뉴욕 지점과 북경 사무소, 하노이 사무소가 전부임에도 김 회장이 자신감을 갖는 이유는 '농업금융'에 있다. 단순히 해외지점 숫자를 늘리는 것에는 의미가 없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김 회장은 "중국, 미얀마, 인도네시아, 베트남, 캄보디아를 공략하고 있다"며 "대부분 동남아 국가는 농업이 큰 비중을 차지해 농업금융에 대한 니즈도 높다"고 말했다.
중국과 베트남은 현지 사무소를 지점으로 전환 추진 중이고 중국에는 합작을 통한 직접진출도 검토하고 있다. 인도에도 지점 개설을 위한 사무소 설치도 곧 이뤄질 전망이다.
또 홍콩에 은행·증권·보험을 한데 묶어 취급하는 파이낸셜센터도 세운다. 이 센터를 통해 농협금융은 해외 기업과의 합작 및 지분 투자를 추진하고 해외 영업망도 넓혀나간다는 방침이다.
농협금융은 리스크 관리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기존의 금융연구센터를 NH금융연구소를 변경하고 산업분석팀을 신설했다. 김 회장은 "그간 농협금융의 취약점으로 지적됐던 부실여신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산업분석팀을 만들었다"며 "여기에 채용된 전문인력들은 157개 업종을 전망하고, 부실징후가 나타나면 빨리 치유할 수 있도록 체크하는 역할을 한다"고 소개했다.
김 회장이 금융지주에 '기업투자금융(CIB)활성화협의회'를 새로 만든 것 역시 리스크 관리차원이다. 계열사 투자금 전략을 공유하고 공동투자 등 협업 활성화를 꾀한다. 은행, 증권, 생명, 손해, 자산운용 등의 법인의 담당 간부 및 부서장들이 격월로 모여 의견을 나누면서 금융지주사의 시너지도 낼 수 있다.
아울러 김 회장은 새 먹거리로 사모펀드 사업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그간 은행과 증권으로 이원화됐던 프라이빗에쿼티(PE)사업조직을 NH투자증권으로 일원화한 것이다. 또 올해부터 NH투자증권의 역량을 키워 헤지펀드 사업을 새로 시작하고 다양한 형태의 사모펀드(PEF)를 설립 및 육성해 수익을 내겠다는 계획이다.
올 하반기 중 등장하는 '인터넷전문은행'에 대한 대비책을 물었더니 김 회장은 "모바일 플랫폼 구축 및 중금리 대출 출시로 모바일 시장 선점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상반기 중에는 모바일융합플랫폼 올원 뱅크(All-One Bank)와 생체인증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향후 인터넷전문은행 컨소시엄 참여 여부는 추후 재검토할 예정이다. 김 회장은 "은행법 개정 및 2단계 추가인가 진행 등 선결이 필요한데다 금융당국의 심사기준, 인가 가능성 등을 고려해 참여를 할 것인지 검토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