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미세먼지가 극성을 부린 지난해 12월 22일 오후 서울하늘이 뿌연 모습을 보이고 있다.[아주경제 남궁진웅 timeid@]
아주경제 김근정 기자 = 2016년 새해가 밝았다. 희망찬 한 해를 기원하며 눈을 떴지만 세상은 희뿌옇기만 했다. 지난해 12월 26일 가족과 함께 63빌딩의 찾았다가 보게 된 것도 아름다운 서울이 아닌 스모그로 뒤덮인 회색빛 세상이었다. '고담시티'를 연상시킬 만큼 우울한 전경이었다.
나들이도 할 수 없었다. 인천 등에는 초미세먼지 주의보, 수도권에는 미세먼지 주의보가 발령됐다며 어린이·노인·폐질환 및 심장질환자의 실외활동 제한을 권고한다는 뉴스가 나온 때문이다.
2일에는 수도권 일부지역 초미세먼지 농도가 '매우나쁨'(101㎍/㎥~)까지 치솟으며 시민의 불안감을 키웠다. 물론 PM2.5(지름 2.5㎛ 이하의 초미세먼지) 농도가 며칠 간 수백 대를 웃돌아 숨 쉬기도 힘든 중국과 비교하면 양호한 수치다. 상대적으로 그렇다는 이야기다. 사실 이는 세계보건기구(WTO) 기준치 25㎍/㎥ 를 4배 이상 웃도는 수준으로 심각하다.
일각에서는 심각한 스모그가 중국 때문이라는 볼멘소리가 나오고 관련 기사에도 '중국발 초미세먼지'라는 표현이 자주 등장한다. 하지만 전문가는 최근 우리나라 스모그 발생 빈도가 늘어난 것은 중국의 영향이 없거나 있어도 크지는 않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우리가 들이마시는 초미세먼지의 상당 부분은 '메이드 인 코리아'라는 뜻이다.
중국은 최근 2020년까지 2013년 대비 초미세먼지 40% 감축 목표를 내세웠다. 배기가스 다량 배출 차량을 폐기하고 친환경자동차 보급을 위해 전기차 구입시 세제해택 제공, 충전소 확충 등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13차5개년 계획'(2016~2020)에서도 '녹색(친환경)'이 강조되고 최근 파리기후 협정에도 동참해 대기질 개선을 위한 정부 차원의 대대적 지원의 지속과 확대도 예고된 상태다.
서울환경연합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시민이 가장 주목했던 환경 뉴스도 '초미세먼지'였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대응 수준은 배기가스 배출량 기준 강화 정도에 머물고 있다. 초미세먼지 주의보 기준도 최근에야 마련됐다. '강 건너 불구경' 하듯 남의 나라 일이라 생각하는 사이 스모그는 우리 곁에 다가왔다. 구체적이고 효율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