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육청은 학생인권교육센터가 학생인권뿐만 아니라 학교의 인권 문제를 총괄하는 부서가 되도록 기존에 수행하고 있던 학생인권 업무에 노동인권 및 성인권 업무를 할 수 있도록 학생인권-노동인권-성인권 담당부서로 조직을 확대했다고 4일 밝혔다.
이를 위해 노동인권담당관과 성인권정책담당관을 개방직 공무원으로 충원하고 주무관 1명을 추가 배치하는 한편 계약직 인권상담조사관의 신분을 일반임기제로 전환했다.
서울교육청은 지난 8월 고교 성범죄 사건을 계기로 전반적인 성인권정책을 총괄할 전문가가 필요하다는 지적과 늘어나고 있는 비정규 취업 학생의 노동인권을 다뤄야 한다는 요구를 반영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학생인권옹호관 부임 이후 학생인권 상담과 권리구제는 2014년 대비 2배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희연 교육감은 “인권은 학생만의 문제가 아니라 학교 구성원 모두의 문제로 자라면서 인권을 존중받은 경험을 겪은 사람이 진정으로 타인을 배려할 수 있는 민주시민이 될 수 있는 것 아니겠느냐“며 ”최소한 학교라는 울타리 안에서만이라도 인권의 사각지대가 없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서울교육청은 이번 학생인권교육센터의 확대 개편이 인권친화적인 학교문화 실현에 기여하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