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연수는 2016년 전체 중학교로 확대되는 자유학기제를 안정적으로 현장에 안착시키기 위해 시‧도교육청에서 추천한 교사 1800여 명을 대상으로 진행한다.
연수 과정은 전문가 과정, 2016년 신규 운영학교 핵심 교사 연수 등 크게 2분야로 전문가 과정은 교과(국, 영, 수, 사, 과), 기획, 자유학기 활동(진로탐색, 주제선택, 예‧체능, 동아리) 등 10개 영역의 교사 510명을 대상으로 자유학기 기획 및 편성,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 수업코칭 및 컨설팅 방법, 자유학기 활동별 우수 프로그램 활용 방법 등 자유학기제 전문가로서 요구되는 역량 제고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했다.
교과‧주제‧지역별 소그룹 워크숍을 통한 우수사례 공유 및 상호컨설팅, 자유학기제 운영 관련 현장토의 및 발전방향 탐색, 지역사회 연계 및 학부모지원단 운영 방향 탐색 등 참여 중심 프로그램으로 운영해 교과별, 영역별 전문가를 양성하는 심화 연수로 효과를 높이도록 운영할 예정이다.
신규 운영학교 핵심 교사 연수는 2016년도에 자유학기제를 처음으로 실시하는 전국 658개교의 핵심교사 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자유학기제 취지 및 방향 이해, 융합을 통한 수업개선 사례 발표, 교과별 수업 및 평가방법 등으로 자유학기제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전반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신규학교의 운영 방향을 정립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구성했다.
2013년도부터 연구‧희망학교를 통해 자유학기제를 먼저 경험한 우수 교사들의 사례 발표와 정보 공유를 통해 2016년 자유학기제를 처음 시작하는 교사들의 어려움과 궁금증을 해소하고 교사간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상호교류의 장이 되도록 운영할 예정이다.
교육부는 온라인 기반 자유학기제 콘텐츠를 개발해 교사들이 시․공간의 제약을 넘어 자유학기제 기초 연수를 이수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는 가운데 교원 대상 연수를 확대해 자유학기제를 안정적으로 현장에 안착시켜 공교육 전체의 긍정적이고 역동적인 변화를 도출하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