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01/05/20160105114638455592.jpg)
서울아산병원 의료진이 개발한 3차원(3D) 프린터를 활용한 유방수술가이드 제작법 [자료=서울아산병원 제공]
아주경제 조현미 기자 = 3차원(3D) 프린터를 이용해 유방암 수술의 정확도를 높이는 기술을 국내 의료진이 세계 처음으로 개발했다.
서울아산병원 유방내분비외과 안세현·고범석 교수와 융합의학과 김남국 교수팀은 선행항암치료를 받은 환자의 유방암 제거 수술 때 3D 프린터로 '수술 가이드'를 제작·활용하면 더욱 정밀한 수술이 가능하다고 5일 밝혔다.
선행항암치료는 수술 전 암 크기가 줄이는 치료법으로, 향후 수술 때 유방 절제 없이 암만 제거할 수 있어 이용 환자가 늘고 있다.
안 교수팀은 선행치료 전 자기공명영상(MRI) 촬영 정보를 바탕으로 환자별 유방과 종양 상태를 3차원으로 만들고, 종양 모양을 투사해 절제 부위를 확인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01/05/20160105114807131358.jpg)
서울아산병원 유방내분비외과 안세현·고범석 교수, 융합의학과 김남국교수(왼쪽부터) [사진=서울아산병원 제공]
마취 상태로 수술 부위를 표시해 환자의 통증을 줄인 것도 장점이다. 기존 방식은 수술 전에 초음파를 보며 환부에 미세침을 꽂아 수술 부위를 표시하는 방식이어서 환자가 통증을 느낄 수밖에 없다.
이 기술은 지난해 12월 식품의약품안전청서 의료용 가이드로 승인을 받고, 현재 관련 임상연구에 들어갔다.
안세현 교수는 "3D 프린터를 활용한 유방암 수술 가이드는 국내·외에서 처음 시도되는 기술"이라며 "선행항암치료를 받은 환자뿐 아니라 향후 전체 유방암 환자에게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