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12월 27일 사망사고가 난 공사현장 진출입구. 지난 7일 덤프트럭이 도로로 진입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 시민이 공사현장 진출입구를 지나가고 있다. [사진=정하균 기자]
아주경제 부산 정하균 기자= 부산지역 대단위 아파트신축공사 현장이 늘어나면서 인접한 인도와 도로에 안전장치를 하지 않은 채 공사를 강행하고 있어 주민불편은 물론 안전사고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본보 취재 결과, 아파트공사현장 대부분이 교통량이 많은 도심에 위치하고 있지만 시공사 측은 공사현장 출입구와 인접한 인도와 도로에 대한 충분한 안전대책을 세우지 않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대형 덤프트럭이 공사현장을 드나드는 출입구 대부분이 내리막길이나 급회전 구간이어서 운전자의 시야가 제대로 확보되지 않아 교통사고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실제 지난해 12월 27일 오전 부산 연제구 연산동의 한 아파트신축공사 현장 인도를 지나던 한 시민이 덤프트럭에 깔려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날 사고는 공사장에서 외부로 나가던 덤프트럭이 자전거를 타고 인도를 지나가던 시민을 미처 발견하지 못해 발생했다.
사고 당시 해당 공사현장 출입구는 4차선 왕복도로와 맞물려 있어 공사차량이 출입하려면 좌회전을 해야 하는데 입구 왼편 도로 10m 후방의 신호제어기 외엔 안전장치가 없었던 것으로 경찰 조사결과 드러났다.
기자가 현장을 방문해 확인한 결과, 덤프트럭이 나갈 때 신호수는 보이지 않았다. 행인이 버젓이 걸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트럭이 도로로 진입하고 있는 모습이 포착됐다.
하지만 시공사 측은 "덤프트럭이 드나들 때 항상 신호수를 배치해 안전사고에 대비하고 있다"며 사고와 안전장치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반면 유가족 측은 "사고 당시에도 덤프트럭에 대한 안전 수신호 조치는 없었던 것으로 CCTV로 확인했다"며 "신호수가 배치돼 있었다면 이런 끔찍한 사고가 발생했겠느냐"고 반문했다.
당시 신호수를 담당했던 B씨는 "경찰에서 조사 의뢰가 들어온다면 성실히 임하겠다"며 "당시 덤프트럭이 도로에 진입하는 것을 확인한 뒤 현장으로 복귀했다"고 해명했다.
연제경찰서 관계자는 "현재 경찰 조사가 진행 중이다. 당시 가해차량 운전자 조사는 모두 끝난 상태이며 법률적 검토를 거친 후 입건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유가족 측은 이른 시일 내에 변호사를 선임해 소송을 진행할 예정이다.

연산동의 또 다른 아파트 신축현장. 공사 차량이 인도와 도로를 점령한 채 레미콘 타설을 하고 있어 주민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 [사진=정하균 기자]
연산동의 또 다른 아파트 신축공사 현장에서는 공사 차량이 인도와 도로를 점령한 채 레미콘 타설을 하고 있었다.
7일 오전 레미콘 차량 등이 부산시청~부산선관위 100m 구간 왕복 4차선 도로 중 1개 차선을 막고 줄지어 도로에 대기하고 있었다. 작업을 마친 레미콘 차량들은 불법으로 유턴하면서 주민들에게 불편을 줬다. 도로와 접한 공사 현장은 인도를 확보하지 않은 채 사람과 차량, 공사자재들이 뒤엉키는 아찔한 상황이었다.
시민 최모씨(61)는 "매일 아침 출근을 위해 이곳 현장을 지나가고 있는데 아파트 공사 현장은 교통량이 많은 도로와 인접한 곳인데도 관리·감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 같아 답답하다"며 "공사가 몇 년간 지속되는 만큼 시작부터 철저한 관리·감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처럼 부산지역 아파트신축공사 현장 대부분이 인접한 인도와 도로에 안전장치를 하지 않고 공사를 강행하고 있지만 당국의 단속은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