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사건에서 쟁점은 ▲ 개인정보를 제3자(보험사)에 판 걸 고객에게 알릴 의무가 있는지 ▲ 응모권의 개인정보 활용 동의 사항을 1㎜ 크기로 써 사실상 읽을 수 없게 했는지 ▲ 생년월일, 자녀수 등 불필요한 정보까지 동의하게 했는지 ▲ 경품을 당첨자에게 제대로 지급하지 않았는지 등이다.
서울중앙지법 형사16단독 부상준 부장판사는 현행 개인정보보호법 17조가 규정한 '개인정보를 제공받을 때 고지해야 하는 항목'에 '제3자에게 유상 제공하는지 여부'는 포함되지 않는다며 홈플러스가 정보를 몰래 판매한 걸 불법으로 볼 수 없다고 판단했다.
응모권에 빼곡하게 쓰인 1㎜의 깨알 글씨의 개인정보 활용 동의 사항에 대해서도 "1㎜ 글씨는 사람이 읽을 수 없는 정도라고 단정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 다른 응모권이나 복권, 약관의 글자 크기도 대부분 그 정도라는 설명도 덧붙였다.
일부 직원이 경품 추첨 결과를 조작해 고가 경품을 빼돌린 사례는 검찰이 기소를 제기한 '개인정보 수집 및 판매'와 무관한 일이며 결과적으론 홈플러스가 '배신'을 당한 개인의 일탈이었다고 판단했다.
시민단체는 홈플러스가 보험사에 고객 동의없는 개인정보를 불법으로 넘긴 것을 현행법이 허용하는 '정보위탁'으로 본 점을 강하게 비난하고 있다. '정보위탁'은 기업 내부에서 개인 정보를 주고받을 때나 해당한다는 것이다.
참여연대 등 13개 단체가 모인 소비자단체협의회는 "이번 판결은 개인정보의 기업 간 무분별 공유로 악용될 소지가 있다"고 비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