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전국 최초 스마트 지방세 고지 및 납부 시스템 구축 추진

  • 정책 오디션 통해 공직자 혁신아이디어 발굴해 정책화 한 첫 사례

                                                          [사진=경기도 제공]


아주경제 김문기 기자= 내년부터 자동차세 등 지방세 고지서를 스마트폰으로 받아볼 수 있게 될 전망이다.

 경기도는 전국 최초로 ‘스마트 지방세 고지 및 납부 시스템’ 구축을 추진한다고 10일 밝혔다. 
이 사업은 도가 지난해 말 도 소속 공직자를 대상으로 진행했던 ‘영 아이디어 공개 오디션’을 통해 선정한 5개 정책 가운데 하나로, 도정 발전을 위해 젊은 공직자의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발굴해 정책화한 첫 사례로 더욱 기대를 모으고 있다.
 
‘스마트 지방세 고지 및 납부 시스템’은 그동안 우편으로 받던 각종 지방세 고지를 스마트폰으로 받고 납부까지 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고지서 미송달과 개인정보 유출 등 우편 고지서의 단점을 보완하고, 납세자가 언제 어디서나 지방세 고지 내용을 편리하게 확인하고 납부할 수 있다는 게 이 시스템의 장점이라고 도는 설명했다.

납세자가 종이 고지서보다 과세 내용을 충분히 설명 받을 수 있고 문의도 편리하게 할 수 있다는 점도 특징이다. 연간 지방세 종이고지서 발송 비용 166억원(경기도 및 31개 시·군, 연 3700만건)도 절감할 수 있다.

도는 국민의 84.1%가 스마트폰을 보유하고 있고, 60대 인터넷 이용자의 72.3%가 스마트폰 메신저를 활용하는 등 스마트 지방세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반이 충분히 마련된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오는 6월까지 시스템 구축을 마치고 중앙정부 및 시·군 협의를 거쳐 7월부터 시범운영에 들어갈 예정으로, 내년 자동차세부터 본격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남경필 지사는 “젊은 공직자의 아이디어로 시작된 스마트 고지서는 경기도 세정의 혁신사례"라며 "납세자와의 소통 강화를 통해 도민 중심의 도정을 펼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