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래의 시골편지] 키워드로 정리해본 2016년도 전원주택과 전원생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6-01-11 13:4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김경래 OK시골 대표, 카카오스토리채널 ‘전원주택과 전원생활’ 운영

김경래 OK시골 대표


베이비부머의 은퇴가 본격화 되고 경기 침체로 인한 조기 퇴직하는 직장인들이 늘면서 귀농 귀촌에 대한 관심들이 부쩍 늘었다. 이런 사람들이 기존의 전형적인 전원주택과 전원생활에 대한 수요와 겹치면서 시장은 더욱 다양해졌고 폭 넓어졌다.

전원주택 시장을 말할 때 이런 귀농귀촌 수요를 제켜둘 수는 없다. 귀농 귀촌 인구가 전원생활 수요의 많은 수를 차지하면서 시장도 바뀌고 있다. 올해 전원주택과 전원생활 시장을 몇 가지 키워드로 정리해보았다.

첫째는 ‘수익’이다. 2010년부터 베이비부머들의 은퇴가 본격화 되었고 가속도가 붙고 있다. 이런 은퇴 인구의 급증에 기업들의 구조조정이 이어져 조기 은퇴자들도 늘고 있다. 경기침체로 인해 자의 반 타의 반 자영업자들의 퇴출도 심화되고 있다. 이들 중 귀농귀촌을 희망하는 사람들이 많다. 아직도 정확한 수익이 있어야 하는 사람들이다. 그러다 보니 경제적인 투자, 실패하지 않는 투자에 안정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귀농귀촌, 수익형 전원생활에 대한 관심은 점점 커질 것이다.

둘째는 ‘믿음’이다. 전원생활 준비를 하지만 너무 혼란스러워 불안하다. 믿을 곳이 없다. 정부에서 말하는 귀농 귀촌만 보아도 헷갈린다. 쏟아내는 말들은 모두 환상이다. 공짜 교육에 대단한 지원을 한다. 하지만 실제 들어가 보면 생색내기 좋은 것들만 가지고 떠들어 대는 꼴이다. 실제 필요한 것들을 콕 짚어 주는 곳은 없다. 지원이라 하는 것도 부동산 담보대출이다. 그것도 일반대출보다 까다롭다. 금리만 조금 낮을 뿐이다. 무슨 마을을 만든다고 요란을 떨지만 속을 들여다보면 엉망이다. 믿고 따르기 불안한 것이 현실이다.

민간 시장도 믿음이 없긴 마찬가지다. 한 때 부동산 개발사업자들이 나서서 펜션을 부추겨 너도나도 차렸고, 또 캠핑캐라반을 내세워 캠핑장을 만들기도 했지만 잠시 끓고 마는 냄비다. 투자했다 힘들어 하는 사람들을 많이 분다. 믿을 수 있는 것은 결국 스스로다.

셋째는 ‘다양’이다. 전원생활의 유형이 매우 다양해졌다. 집도 극소형 이동식주택에서부터 고급 전원주택까지 변화무쌍하다. 특히 예전 전원생활은 좋은 땅에 좋은 집 짓고 시작하는 것이었는데 이런 공식도 깨졌다. 남 눈치 안 보고 내 식대로의 전원주택, 전원생활을 계획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넷째는 ‘이용’이다. 시골에 토지나 주택 등을 보유하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그것을 어떻게 이용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점점 깊어지고 있다. 부동산 거래가 쉽지 않고 또 은퇴 후 도시생활을 접고 내가 갖고 있는 토지를 활용한 귀농 귀촌과 전원생활을 계획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이다. 내가 보유하고 있는 토지 등 시골 부동산의 활용에 대한 묘안을 찾지만 쉽지 않아 고민은 점점 깊어질 것이다.

정리해 보면 현재 귀농 귀촌을 계획하고 전원생활을 희망하는 사람들은 내가 소유한 땅을 활용해 수익을 낼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찾고 있다. 스스로 벅차기 때문에 정부든 지자체든 아니면 누구에게 의지를 하고 싶은데 믿음이 가지 않는다. 그래서 꿈만 꾸고 움직이지 못하는 사람들은 점점 많아질 것이다.

김경래(OK시골 대표, 카카오스토리채널 ‘전원주택과 전원생활’ 운영)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