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01/12/20160112140510217571.jpg)
[아주경제 자료사진]
아주경제 조현미 기자 = 안전띠(안전벨트)를 매지 않은 운전자의 교통사고 사망 위험이 맨 사람보다 12배가량 높다는 연구 논문이 나왔다.
서울대병원 의생명연구원 응급의료연구실과 질병관리본부 손상감시사업단은 12일 국내 응급실을 찾은 교통사고 환자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관련 논문은 국제 학술지인 '대한의학회지' 최근호에 실렸다.
국내에서 응급실에 실려 온 교통사고 환자를 대상으로 안전띠 착용 여부와 관련한 사망 위험도를 분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팀은 2011~2012년 10인승 이하 차량끼리의 교통사고로 17개 응급의료센터를 찾은 환자 2만3698명을 대상으로 안전띠 착용 여부에 따른 사망 위험도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전체 분석 대상자의 64.6%(1만5304명)가 사고 당시 안전띠를 착용하고 있었다. 운전자와 동승자로 나눠서 분석하면 운전자는 76.7%(1만1091명), 동승자는 45.5%(4213명)가 각각 안전띠를 매고 있었다.
교통사고 사망률은 안전띠 착용 때 1.4%, 미착용했을 때는 2.8%로 큰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교통사고 사망에 영향을 주는 다른 변수를 배제했을 때 안전띠를 착용하지 않은 운전자의 사망 위험도는 안전띠를 착용한 운전자보다 11.7배나 높았다.
함께 차를 타고 있던 동승자도 이런 때 사망 위험도가 5.5배 증가했지만, 운전자보다는 낮았다. 같은 상황에서 머리 부위에 치명적 손상을 입을 위험도는 운전자는 3.1배, 동승자는 2.1배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안전띠가 차량 충돌 때 1차 충돌에 의한 운동에너지 전달을 줄이고, 사람과 차량의 2차 충돌을 막음으로써 치명적인 손상을 막는 효과가 있는 만큼 운전석과 동승석 모두 안전띠를 꼭 매야 한다고 권고했다.
현행 도로교통법은 고속도로와 자동차 전용도로에서는 전 좌석, 일반도로에서는 앞좌석만 안전띠 착용을 의무화하고 있다. 그러나 교통사고 환자 중 3분의 2만 안전띠를 착용하는 실정이다.
책임연구자인 노영선 서울대병원 교수는 "교통사고 손상을 줄이기 위한 공중보건학적 안전띠 착용 캠페인을 벌이거나 법률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