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전자의 보급형 스마트폰 'K10'[사진=LG전자 제공]
아주경제 한아람 기자 =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연초부터 일제히 중저가 스마트폰을 출시하며 화웨이·샤오미 등 중국 업체들의 ‘가성비’ 공세에 맞불을 놨다.
이동통신 3사는 14일 삼성전자의 2016년형 갤럭시A5와 갤럭시A7, LG전자의 K10를 출시했다.
갤럭시A 시리즈와 K 시리즈는 최고 사양의 프리미엄 전략 스마트폰에 비해 가격이 상당히 저렴해 중저가 또는 보급형 제품으로 한데 묶이지만, 세부 사양에서 차이가 있어 각각 다른 중국산 제품과 경쟁이 예상된다.
LG전자가 예년에 비해 3개월 가량 일찍 선보인 보급형 스마트폰 K 시리즈는 출고가 20만원 중후반대로, 시장에서 중국 화웨이의 Y6, 샤오미의 홍미3와 등과 맞붙을 공산이 크다.
K10은 1300만 화소의 후면 카메라, G 시리즈에 적용하던 사용자 경험(UX)을 비교 우위로 삼았다. LCD 디스플레이 가장자리를 둥글게 처리하는 등 디자인에도 신경을 썼다.
삼성전자가 기존 갤럭시A 시리즈를 개선한 2016년형 갤럭시A5와 갤럭시A7은 50만원대로 출고됐다. 모바일 결제서비스인 삼성페이를 채택했다. 10분만 충전해도 2시간 영화를 볼 수 있는 급속 충전 기능도 있다.
갤럭시A 시리즈는 화웨이의 메이트8 등이 국내에 들어올 경우, 경쟁 구도를 형성할 수 있다. 메이트8보다 10만∼20만원 더 저렴하면서 사후관리 등 편의성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지난해 국내 스마트폰 시장이 프리미엄·중저가 모델로 양극화됐고, 올해 중저가 제품 시장이 확대되는 가운데 삼성·LG와 화웨이·샤오미의 맞대결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