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백현철 기자 = 서울시 ‘층간소음 전문 컨설팅단’이 2014년 4월부터 지난 1년 9개월간 접수된 전체 민원 상담 1097건을 분석한 결과 겨울철 층간 소음 상담 건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4일 밝혔다.

서울시 층간소음상담실 층간소음 상담 분석자료(’14.4~’15.12) [자료=서울시 제공]
2014년의 경우 10월(47건)을 시작으로 11월(48건), 12월(55건), 15년 1월(65건)까지 증가했고, 15년 4월(71건) 이후 감소했다. 2015년 10월(69건)에도 큰 증가폭을 보인 이후 꾸준히 높은 건 수를 기록하고 있다. 가을에서 겨울로 넘어가는 시기에 층간 소음 발생 건수가 증가한 것이다.

층간소음 발생원인(소음원별) [자료=서울시 제공]
층간소음 갈등의 가장 큰 원인으로는 아이, 어른들이 위층에서 뛰거나 걸으면서 발생하는 소음이 850건으로 전체의 77.5%를 차지했다.
가구를 끌거나 망치질, 문 개폐로 인한 소음 118건(10.8%), 청소기‧세탁기 등 가전제품 소음과 피아노 소리 65건(5.9%), 개 짖는 소리 50건(4.6%) 순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추운 날씨로 실내 활동이 증가하고 난방을 위해 창문을 닫고 지내는 시간이 길어지는 겨울철에 층간소음에 더욱 민감해지는 것으로 분석하고 이웃 간 각별한 주의와 배려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정유승 서울시 주택건축국장은 “층간소음 갈등이 증가하는 겨울철을 맞아 어느 때보다 갈등 해결을 위해 상호배려와 차분한 대처가 필요하다”며 “문제발생 시 직접 항의 방문하는 등 감정대립을 자제하고 아파트 관리사무소나 120 다산콜센터, 서울시 층간소음 상담실 등을 통해 해결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