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주경제 문지훈 기자 = 국제유가 하락의 영향으로 지난해 생산자 물가가 전년 대비 4%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은행이 관련 통계를 편제하기 시작한 1990년 이후 연간 기준 최대 하락폭이다.
19일 한은에 따르면 지난해 평균 생산자물가지수는 100.95로 전년 대비 4.0% 하락했다. 이는 1990년 이후 연간 최대 하락폭으로 기존에는 외환위기 여파로 1999년 2.1% 하락한 게 최대 하락폭이었다.
지난해 12월 생산자물가지수(2010년 100 기준)는 99.06으로 11월 99.25보다 0.2% 하락했다. 12월 지수의 경우 2010년 4월 98.97 이후 5년 8개월 만에 최저치다.
생산자물가가 소비자물가에 선행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당분간 저물가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생산자물가가 최저치를 기록한 것은 국제유가 급락의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이 주로 수입하는 중동산 원유 가격 기준인 두바이유는 지난달 30달러대까지 하락하기도 했다.
지난해 12월 생산자물가지수 품목별로는 석탄 및 석유가 66.54로 전년 대비 23.5% 하락했다.
제1차 금속의 경우 16.5% 하락했으며 △전력·가스 및 수도 -8.7% △화학 -7.1% △공산품 -6.8% △전기 및 전자기기 -6.3% 등으로 나타났다.
반면 농림수산품은 104.15로 1.0% 상승했다.
서비스 부문 생산자물가지수는 지난해 12월 107.88로 1.3% 상승했다. 음식점 및 숙박이 2.3%, 교육 2.3%, 부동산 서비스가 1.5% 올랐지만 수상 및 항공운송은 5.9% 하락했다.
국내공급물가지수는 지난달 94.28로 전월 대비 0.1% 하락했으며 지난해 평균의 경우 전년 대비 6.4% 하락했다.
수출품을 포함한 총산출물가지수는 지난해 12월 95.10으로 전월보다 0.1% 떨어졌다. 연평균 기준으로는 전년보다 4.2% 하락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