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6년 환경정책자금[출처=환경부]
아주경제 이규하 기자 =환경산업에 장기·저리로 융자하는 올해 환경정책자금이 2160억원으로 책정됐다.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25일부터 융자관리시스템(loan.keiti.re.kr)을 통해 환경정책자금 융자신청을 접수한다고 밝혔다.
올해 분야별 환경정책자금 사업은 재활용산업육성자금 1036억원, 환경개선자금 620억원, 환경산업육성자금 455억원, 천연가스공급시설 설치자금 49억원 등의 규모다.
융자신청 접수는 분기별이며 1분기 환경정책자금 융자신청에 1.74% 금리가 적용된다. 재활용산업육성자금의 경우는 활용실적이 낮았던 ‘기술개발자금’과 ‘유통판매자금’ 분야를 폐지하고 활용도가 높은 시설자금과 경영안정자금 분야로 예산을 집중했다.
천연가스 충전소 시설을 짓는 사용자의 경우는 충전소 부대시설을 설치할 때도 융자금을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다.
아울러 환경개선자금 중 오염방지시설 설치자금의 지원 대상을 중소기업뿐 만 아니라 중견기업까지 확대하는 등 제도적 변화를 도입했다.
또 융자 신청기업의 편의성을 증대하기 위해 온라인 신청단계를 간소화하고 문자 알림 서비스를 도입했다.
특히 환경산업기술원은 지난해 총 3회에 걸쳐 기업과 금융기관 등 관계 기관들을 대상으로 간담회와 설문조사를 진행하는 등 수요자 맞춤형 정책 운영을 펼친다는 계획이다.
김용주 환경산업기술원 원장은 “국민의 목소리에 더욱 귀 기울여 수요자 중심의 환경정책자금 융자사업을 운영할 것”이라며 “환경산업 육성과 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