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연구원(원장 권태신, 이하 한경연)은 26일 오후 전경련 컨퍼런스센터에서 ‘경제활성화와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서비스산업 규제개혁과제’ 세미나를 개최하고 이같이 밝혔다.
◆투자개방형 의료법인 설립 허용해야
조현승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의료서비스산업의 성장을 가로막는 규제로 투자개방형 의료법인 설립금지를 꼽았다. 현행법상 한국은 투자개방형 의료법인 설립이 허용되지 않고 있다. 조현 연구위원은 “현행 국민건강보험을 유지한다면 투자개방형 의료법인은 비보험 매출비중이 높은 진료과목인 성형외과, 피부과, 치과나 연구개발(R&D) 중심 병원에 집중될 것”이라며, “일반 진료과목의 수가 상승이나 공공의료 접근성 저하 문제는 발생할 가능성이 낮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투자개방형 의료법인 설립이 의료보험 민영화와 무관하다는 확신을 심어주는 등 국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대형마트 규제 폐지해야
연구에 따르면 2014년 1월부터 12월까지 서울시내 대형마트와 중소슈퍼마켓에서 판매하는 25개 생필품 가격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대형마트와 중소슈퍼마켓은 서로의 가격변화에 반응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형마트는 대형마트의 가격변화에 반응하고, 중소슈퍼마켓은 중소슈퍼마켓의 가격변화에 반응하는 등 같은 규모의 유통업체에서 판매하는 제품의 가격들 간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예를 들어 신라면의 경우 대형마트가 가격을 평균 100원 올리거나 내릴 경우, 다른 대형마트는 약 62원을 올리거나 내려 가격경쟁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달리 대형마트가 같은 품목의 가격을 올리거나 내려도 중소슈퍼마켓은 가격에 변화가 없었다
정 부연구위원은 “중소유통업체 보호를 위해 대형유통업체를 규제하는 유통산업발전법은 대형유통업체와 중소유통업체가 서로 경쟁관계에 있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면서 “하지만 이번 연구결과는 대형마트와 중소슈퍼마켓이 서로 경쟁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대형마트 규제는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서비스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의료법, 유통산업발전법 등의 개정뿐만 아니라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도 조속히 처리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산악관광사업 추진 시 일자리 2만5000개 창출 효과
김혁수 청주대학교 교수는 “지난해 정부가 국회에 제출한 산악관광진흥 법안에 따라 사업안을 구상하고 그 효과를 분석한 결과, 약 2만5000개의 일자리가 창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재무타당성 분석에 따르면 △투하자본 회수기간(PPM)은 약 1.5년 △회계적이익율(ARR) 116% △내부수익률(IRR)은 105.4% △순현재가치(NPV)는 약 12억원으로 추정됐다.
그는 “산악관광의 사업성이 매우 높다”며, “산악관광법 제정안 제4조에서 적용 배제 구역으로 지정된 야생생물 보호구역 등에 대해서도 규제개혁 기본정신이 흐려지지 않는 선에서 보다 과감한 규제완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공공SW사업에 민간투자방식 도입해야
안홍준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정책연구팀장은 “조선·건설·자동차 등 국내 주요 전통산업의 경우 정부와 기업이 서로 협력해 성장해 왔다”며, “낮은 성장 수준에 머물러 있는 국내 소프트웨어(SW) 산업의 발전을 위해 공공SW사업에 민간투자방식을 도입해야한다”고 주장했다.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SW기업이 자본과 기술로 공공시스템통합(SI) 과제를 포함한 정부 서비스를 개발, 구축한 후에 정부에 소유권을 이전하고, 일정 기간 동안의 관리·운영권을 획득해 투자비를 보전하는 방식을 제안했다.
안 정책연구팀장은 “정부기관은 효과가 불투명한 SW개발의 투자부담을 줄이고 SW에 대한 제값을 실현할 수 있으며, SW사업자는 전문SW기업으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인터넷 전문은행 금산분리 규제 완화해야
박소영 페이게이트 대표이사는 “현재 인터넷 전문은행에 오프라인 은행과 같은 금산분리 규제가 적용되고 있다”며 “이는 신성장동력인 핀테크산업의 발전을 가로막는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박 대표는 “금산분리 규제가 강한 미국과 일본에서도 과거 인터넷 전문은행을 설립할 수 있도록 과감히 규제완화를 추진했다”며, “현재처럼 엄격한 금산분리 규제가 지속되면 핀테크 혁명에 부응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핀테크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개인간(P2P) 대출을 막는 대부업법 △크라우드펀딩을 발목 잡는 투자한도 조항 △정보유출시 과도하게 처벌하는 개인정보보호법 △문제 발생시 금융회사에 모든 책임을 전가하는 전자금융거래법 등에 대한 개혁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