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배군득 기자 = 국내 환경 기업들의 중국 진출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그동안 영세기업 위주였던 환경기업들이 기술력을 앞세워 거대 중국 시장 석권을 노리고 있다.
정부에서도 환경 산업이 향후 미래 성장동력이라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여러 가지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 등 지원사격에 나서는 모습이다. 특히 우리의 미세먼지 저감 기술은 세계 최고 수준에 올라 있다는 평가다.
지금까지 기술력은 좋지만 판로 개척에 어려웠던 점도 정부와 대기업의 적극적인 참여로 숨통이 트였다. 여기에 중국 당국에서도 대기오염에 대한 심각성을 인식하고 공격적인 예산 투입에 나서면서 국내 환경기업들에게 좋은 기회로 작용하고 있다.
중국 환경시장은 지난해 25년 만에 환경보호법을 개정하며 관련 산업이 들썩이고 있다. 중국은 법 개정을 통해 환경오염 관리감독 강화, 오염배출 기업에 대한 기업폐쇄까지 가능하도록 했다. 벌금 상한선 폐지, 오염기업 리스트 공개 등 강도 높은 규제 역시 개정법에 포함됐다.
이와 함께 올해부터 시작되는 ‘제3차 5개년 계획’에서 에너지 절약·환경분야에 17조위안(약 3000조원)의 투자를 계획 중이다. 특히 내년까지 미세먼지 등 심각한 대기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매연저감, 청정에너지 보급 등 대기 환경개선에 304조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이처럼 중국이 환경 산업에 대한 보폭을 넓히자 우리 정부와 기업들은 중국 환경 시장을 놓치지 않기 위해 기민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실증사업이 주목 받는 이유다.
중국은 한국의 우수한 대기오염방지 기술을 중국 내 제철소, 석탄화력 발전소 등에 적용하는 실증 협력 사업을 추진 중이다. 중국의 까다로운 검증 절차 요구에도 불구하고 실증 사업이 본 궤도에 오르면 국내 환경기업의 중국 시장 진출이 수월하다는 게 정부와 업계의 판단인 셈이다.
실제로 국내 환경기업은 지난해 KC코드렐, 포스코ICT 등 3개 프로젝트 총 150억원 규모 계약 체결에 성공했다. 올해는 207억원 규모의 4개 프로젝트가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정부는 실증사업이 차질 없이 추진되도록 물밑 지원에 집중하고 있다. 양국은 정부간 협력 채널 정례화에 합의하고 우리기업·기술 홍보, 협력사업 발굴, 일대일 비즈니스 상담 등 환경기업 수출 지원을 위해 중국 정부와 실무위원회를 열기로 했다.
정부는 또 올해 중국에서 열리는 산시성 제20회 실크로드 박람회(5월), 광둥성 국제환경보호전(8월), 산둥성 국제녹색산업박람회(9월) 등 3차례 대형 환경박람회에 민·관 합동 환경산업협력단 파견도 검토 중이다.
이밖에 이달부터 중국어 포털사이트(www.eiskores.org.cn) 운영, 중국 발주처 등 수요자에게 국내 우수 환경기업·기술 정보를 제공하는 창구도 운영하고 있다.
안세창 환경부 환경산업과장은 “국내 우수 환경기술의 수출을 위해 가장 시급한 것은 중국 내에서 실증화를 통한 레퍼런스 구축”이라며 “철강분야 대기질 개선 실증 시범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해 중국의 제철소는 물론 화력발전소 오염방지시설 개량 수요를 선점하겠다”고 말했다.
안 과장은 이어 “허베이성과 산시성 등으로 사업 지역을 확대하고 석탄화력발전, 소각발전 등으로 사업 분야를 넓히겠다”며 “중국 발주처 다양한 수요에 부합하는 국내 우수기술 추가, 기술선택의 폭 확대도 올해 안에 성과를 낼 것”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