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게임개발자콘퍼런스(GDC)가 최근 2000명 이상의 게임개발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해 발표한 '2016 게임산업 전망 보고서'를 보면, 응답자 과반 이상은 VR 게임산업이 대중화하기는 시기상조라고 응답했다.
게임 콘텐츠의 가격이 VR 게임 대중화에 걸림돌이 될 것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VR 게임은 주로 하드코어 게이머층을 공략한 고가 상품이 주로 출시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캐주얼 장르를 즐기는 일반 게이머들을 VR 시장으로 끌어들이기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프리미엄급에 속하는 삼성전자의 '기어 VR'(약 13만원)은 물론이고 '폭풍마경' 등 수만 원에 불과한 중국산 제품에 구글의 '카드보드'까지 이미 VR 기기 자체의 가격은 상당히 내려온 상태다.
VR 게임의 대중화를 비관적으로 전망한 개발자들 가운데 상당수는 증강현실(AR)에는 상대적으로 낙관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VR은 말 그대로 현실세계와 떨어져 있지만, AR은 가상현실과 현실이 뒤섞여 공존하기에 지인들과 경험을 공유하며 콘텐츠를 즐길 수 있어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