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주진 기자 =북한이 7일 발사한 미사일이 궤도에 진입하면서 북한의 미사일 기술과 성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군 당국은 광명성호의 제원과 궤적, 사거리 능력, 탑재중량 등이 은하 3호와 같은 점을 들어 북한이 기술적 진보를 이루지는 못했지만 두 번 연속으로 탑재체를 위성궤도에 진입시키는 성공함에 따라 안정성은 개선된 것으로 평가했다.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전력화에 필요한 탄두의 대기권 재진입 기술도 아직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북한은 1970년대 후반 '대륙간 탄도미사일 및 우주능력 발전 계획'을 수립한 이후 탄도미사일 개발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1980년대에는 사거리 300~500㎞의 스커드 미사일, 1990년대에는 사거리 1천300㎞인 노동 미사일을 개발했고, 2000년대에는 사거리 3천㎞ 이상의 중거리탄도미사일(IRBM)인 무수단(노동-B) 미사일을 실전배치했다.
이후 사거리 5천500㎞ 이상의 ICBM 개발에 박차를 가하기 시작했다. 2009년 4월 은하 2호 로켓 발사 때는 1, 2단 분리에 성공해 3천800㎞를 비행, 기술적으로 진일보했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2012년 4월에 발사한 은하 3호는 발사 1~2분 뒤 공중에서 폭발했지만, 같은 해 12월에 발사된 은하 3호는 1~3단 추진체가 정상적으로 분리돼 탑재체(광명성 3호)가 위성 궤도에 진입했다.
광명성호와 은하 3호의 탑재 가능 중량은 200~250㎏로 동일한 수준으로 평가됐다.
북한의 핵무기 소형화 능력을 고려할 때 핵탄두 탑재를 위해서는 탑재 중량이 500㎏ 이상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ICBM급으로는 평가되지 않고 있다.
장거리 탄도미사일은 추진시스템, 유도제어기술, 재진입체로 구성된다.
북한은 3단 액체추진체를 사용하며 2012년 12월 은하 3호는 1단은 노동-B 4개, 2단은 노동-B 1개를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광명성호의 추진시스템도 은하 3호와 유사한 것으로 군 당국은 추정했다.
광명성호와 은하 3호의 1단 추진체 연소시간이 120초로 동일하고, 1, 2단 추진체와 덮개(페어링)의 낙하지점이 유사하다는 점에서 두 장거리 미사일의 사거리 능력도 1만2천여㎞로 같은 것으로 평가됐다.
사거리 1만2천여㎞는 미국 본토를 타격할 수 있는 수준이다.
북한의 로켓 유도제어기술은 상당한 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평가됐다. 북한은 2009년 4월 장거리 로켓 발사 때부터 기존의 추력벡터제어(TVC)에 추가해 자세제어장치(DACS)까지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군 당국은 광명성호에 적용된 자세제어장치는 은하 3호와 동일한 것으로 추정했다.
2012년 12월 이후 북한 장거리 미사일의 기술적 진보는 미미했지만, 두 번 연속으로 탑재체를 위성궤도에 진입시키는 성공함에 따라 안정성은 개선된 것으로 평가됐다.
군 관계자는 "두 번 연속 궤도 진입에 성공했으니 구성품의 신뢰성 등은 나아진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북한은 아직 핵탄두를 탑재한 ICBM을 실전 배치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앞으로 추가 장거리 미사일 발사를 통해 기술적 개선을 시도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전망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